코스피

2,682.52

  • 46.00
  • 1.74%
코스닥

844.72

  • 4.74
  • 0.56%
1/2

역성장에 통화정책 바뀌나…시장, 금리인하 '베팅'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역성장에 통화정책 바뀌나…시장, 금리인하 `베팅`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우리나라의 지난 1분기 경제 성장률이 -0.3%에 그치는 등 경기 둔화 여파로 하반기 통화당국의 정책 방향 전환에 대한 전망이 커지고 있다.

채권시장에서는 이미 금리 인하의 전조로 여겨지는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이 다시 나타났다.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직전 거래일인 26일 기준 연 1.72%로 기준금리인 연 1.75%보다 낮아졌다.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통화정책 방향을 완화 기조로 선회한 직후인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12일까지도 기준금리를 밑돈 바 있다.

그러나 한은이 금리동결 기조 유지를 강력히 시사하면서 이달 중순 기준금리 위로 가까스로 원상복귀 했는데, 성장률 쇼크로 다시 추락한 것이다.

한은은 지난 25일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0.3% 역성장했다고 발표했다.

하나금융투자의 이미선 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2012년 이후 기준금리가 인하됐던 과거 5번의 사례를 살펴보면 3년 만기 국고채 금리와 기준금리 간 역전이 발생한 지 1∼4달 후 실제 기준금리 인하로 연결됐다"고 소개했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인하했던 2012년 7∼10월(2회), 2013년 5월, 2014년 8∼10월(2회), 2015년 3∼6월(2회), 2016년 6월 등 5개 시기를 분석해보니 금리 인하 결정보다 빠르게는 4개월 앞서 3년 만기 국고채 금리가 기준금리 밑으로 먼저 내려갔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한은은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18일 기준금리 동결 직후 기자회견에서 "소위 리세션(경기침체)에 대한 공포는 과도하다는 게 모든 기관과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진단"이라고 했다. 이 총재는 기준금리 인하를 전혀 검토하지 않는다고도 했다.

하지만 이 총재의 이런 발언에도 불구하고 대내외 여건을 고려할 때 한은이 결국 완화 기조로 입장을 바꿀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하는 시장 참가자들이 많다.

이 연구원은 "성장의 주축인 수출과 설비투자의 절대 규모가 감소하고 있어 향후 경기가 반등하더라도 반등 폭이 예상에 미치지 못할 위험이 있다"며 "(한은이) 7월 수정전망에서 올해 성장률 전망을 하향 조정하면 금리 인하 논의가 본격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이영호  기자
 hoya@wowtv.co.kr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