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90320/B20190320160453323.jpg)
정승일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이 "지열발전 상용화 기술개발 사업을 관련 절차에 따라 영구 중단한다"고 밝혔습니다.
정 차관은 오늘(20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지열발전 관련 위험성이 제기된 만큼 추가적인 지열발전 사업 계획은 없다"며 이와 같이 말했습니다.
또 정 차관은 "포항시와 협조해 지열발전 상용화 기술개발 사업은 영구 중단하고 해당 부지는 원상복구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산업부는 향후 5년간 2,257억원을 투입해 포항 흥해 지역 특별재생사업을 추진하고, 주택과 기반기설 정비에 나섭니다.
정 차관은 `포항시민에 별도 보상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지자체와 주민 의견 수렴을 거쳐 관계 부처와 함께 조사하겠다"고 답했습니다.
![](https://img.wowtv.co.kr/wowtv_news/20190320/B20190320160552133.jpg)
앞서 정부연구단은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포항 지진은 인근 지열발전소가 촉발한 것"이라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해외조사위원회도 "지열발전을 위해 주입한 물이 `알려지지 않은 단층대`를 활성화해 지진을 촉발했다"고 설명했습니다.
2017년 11월 15일 발생한 포항 지진은 그 원인을 두고 자연 발생론과 발전소 유발론이 맞서왔습니다.
약 1년간의 정밀 조사 끝에 국내외 전문가로 구성된 정부연구단이 지열발전소 원인으로 결론내면서, 향후 지열발전 기술개발과 포항시민 보상 문제 등을 두고 논의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