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92.05

  • 17.66
  • 0.64%
코스닥

842.12

  • 0.13
  • 0.02%
1/2

인력 부족 日 기업, 인턴에 '취업 내정' 통보까지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인력 부족 日 기업, 인턴에 `취업 내정` 통보까지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일본 기업의 채용 시기가 갈수록 빨라지고 있다. 심각한 인력 부족을 겪고 있는 기업들이 하루라도 빨리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일찍부터 `취업 내정`을 통보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인턴에 참가한 학생의 경우 70% 가까이가 내정통보를 받은 것으로 나타나 인턴이 신입사원 채용의 유력한 수단으로 정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에 따르면 유력 취업정보업체인 디스코가 2020년 봄 대학 및 대학원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실시해 16일 발표한 금년 1월1일 현재 취업내정률은 4.7%였다.

이 회사 취업정보 사이트에 등록한 대학 및 대학원생 1천210명이 조사에 응했다. 이중 4.7%가 `내정통보를 받았다`고 대답했다. 이는 전년 같은 시기 보다 1.6포인트 높은 것이다. 전년의 경우 2월 시점의 내정률이 4.6%였던 점을 고려하면 기업의 채용이 1개월 정도 앞당겨진 셈이다.

대학 3학년 3월에 기업설명회 등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현행 규정은 2021년 졸업자까지 적용되지만 이미 규정 자체가 유명무실해지고 있다.
내정통보를 받은 사람의 68.4%는 `인턴십에 참가한 기업으로부터 내정통보를 받았다`고 응답했다.
예식업계 진출 희망자인 교린(杏林)대 3학년 여학생은 "인턴에 참가한 3개사로부터 조기선발시험 안내가 와 이중 1개사와 연초 1차면접시험을 봤다"고 말했다. 조기 선발시험은 일반 학생의 응모원서를 받기 전에 인턴 등에 참가한 학생을 대상으로 면접 등을 보는 채용절차다. 조기 선발시험이라는 용어가 널리 쓰이는 것 자체가 인턴이 채용기회로 자리 잡아 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실제로 필기시험이나 면접 등 채용에 필요한 선발절차를 거쳤는지에 대해 `거쳤다`는 응답이 29.3%로 전년 같은 시기 조사 때 보다 9포인트 상승했다.
1월 시점에서 인턴 참가경험자는 89.2%에 달했다. 이중 `조기선발시험 안내를 받은` 사람이 42.8%로 전년 보다 7.1% 높아졌다.
신입사원 채용을 기존 4월로 한정하지 않고 연중 수시채용제도를 도입하는 기업이 늘고 있는 것도 조기채용을 부추기는 요인이다.
소프트뱅크는 작년 12월부터 입사지원서를 접수하고 있다. 소프트뱅크는 게이단렌 회원사지만 2015년부터 연중 수시채용제를 도입했다. `입사시 30세 미만`이면 신규 졸업, 기존 졸업 구분 없이 응시할 수 있다. 여름에 실시한 인턴십 참가자들에게 이미 내정통보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이영호  기자
 hoya@wowtv.co.kr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