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임금을 줄여 일자리를 늘리는 게 핵심인 ‘광주형 일자리’ 도입을 놓고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오늘 열린 소득주도성장 토론회에서 정부는 광주형 일자리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한 반면 한국노총 등 노동계는 질 낮은 일자리를 양산할 뿐 이라며 정책철회를 촉구했습니다.
먼저 고영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오늘 열린 소득주도성장 토론회에서 정부는 ‘광주형 일자리’ 도입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인건비를 줄여 일자리를 늘리고 대신 공장을 유치한 지자체가 보육이나 주거 복지혜택으로 채워주면 꽉 막힌 일자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겁니다.
<인터뷰> 홍장표 / 소득주도성장특위 위원장
“광주형 일자리는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임금격차를 없애고 보육과 주거 등 노동자들의 복지를 지원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새로운 지역산업모델입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같은 일을 하더라도 어떤 회사에서 일하느냐에 따른 임금격차가 심한 데 광주형 일자리를 도입하면 어느 정도 해소될 것이란 주장도 나왔습니다.
광주형 일자리에서 말하는 적정임금(연대임금)이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임금격차를 줄이고 비슷한 업종끼리 비슷한 임금을 받는 기준이 된다는 겁니다.
광주형 일자리 도입에 반발하며 총파업을 예고한 한국노총 등 노동계는 오늘 토론회에서도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유정엽 한국노총 정책실장은 “광주형 일자리는 저임금 일자리를 양산하는 것”이라며 “좋은 일자리 창출이라는 정부 정책기조와도 맞지 않다”고 비판했습니다.
또 “국산차 시장이 부진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광주에 공장을 늘리는 것은 다른 지역의 일자리를 뺏는 것”이라며 정책철회를 촉구했습니다.
토론자들은 광주형 일자리 사업이 중장기적 산업위기 극복 전략으로 자리잡기 위해선 노사간의 양보와 타협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한국경제TV 고영욱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