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65.29

  • 6.23
  • 0.23%
코스닥

781.10

  • 2.83
  • 0.36%
1/4

해외 직구로 17배 '폭증'했다는 중국산 제품 보니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중국산 전자제품 소비가 늘면서 해외 직구(직접 구매) 건수가 2년 만에 17배나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유럽의 핸드백·가방 직구는 무려 4배 가까이 늘었고 미국은 비타민 등 건강기능식품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24일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을 상대로 한 해외 직구 건수는 408만8천 건으로 전년(193만7천 건)보다 두 배 넘게 증가했다.

중국 해외 직구의 증가세는 휴대전화 보조배터리 등 IT(정보통신) 전자제품이 견인했다.

지난해 중국산 전자제품 직구는 88만 건으로 전체의 21.5%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중국 전자제품 직구는 2015년 5만2천 건에 불과했지만 2016년 33만6천 건으로 6배 넘게 늘어난 데 이어 지난해에도 160%나 증가했다.

최근 몇 년간 중국산 전자제품은 높은 가격 대비 성능비를 무기로 국내 전자제품 시장을 흔들고 있다.

이전까지 좋지 않은 이미지를 완전히 벗지 못한 탓에 중국산 전자제품의 부상은 `대륙의 실수`라는 별칭을 얻기도 했다.

특히 샤오미, TCL, 하이얼 등 브랜드들이 `예상보다 괜찮은` 품질을 앞세워 저가형 TV, 세탁기, 보조배터리 시장에서 약진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중국산 의류도 2015년 17만5천 건에서 2017년 70만7천 건으로 늘어나는 등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을 상대로 한 직구는 완만한 증가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비타민, 항산화제, 오메가3 등 건강기능식품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늘어나는 모습이다.

2015년 237만9천 건이었던 미국산 건강식품 직구 건수는 지난해 422만5천 건으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

같은 기간 전체 미국 직구 건수가 1천164만 건에서 1천330만 건으로 14%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매우 빠른 증가세다.

전체 미국 직구에서 차지하는 건강식품 직구 비중도 20.4%에서 31.8%로 껑충 뛰었다.

유럽의 경우 지난해 전체 직구(350만6천 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화장품(102만4천 건)이 29.2%로 가장 컸지만 핸드백·가방의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유럽산 핸드백·가방 직구는 2015년 4만6천 건이었지만 2016년 8만5천 건으로 늘어난 데 이어 지난해에는 17만9천 건으로 뛰어올랐다. 2년 새 4배 가까이 늘어난 셈이다.

일본 직구는 초콜릿·캔디 등 기타 식품류가 36만1천 건으로 전체의 17.9%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일본산 기타 식품류 직구는 2015년 4만7천 건, 2016년 14만 건 등을 기록하면서 2년 새 7배 가까이 폭증했다.


디지털뉴스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