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50.35

  • 8.07
  • 0.29%
코스닥

859.15

  • 3.04
  • 0.35%
1/2

'대구' 하면 '덥다'…시민들 도시 이미지로 첫손에 꼽아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대구` 하면 `덥다`…시민들 도시 이미지로 첫손에 꼽아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대구시민은 `대구` 하면 `덥다`라는 단어를 가장 많이 떠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역사문화연구소가 도시 이미지에 조사를 한 결과 일반시민 11.7%가 `기후-덥다`, 10.1%는 `팔공산/갓바위`를 가장 많이 연상하는 것으로 나왔다고 26일 밝혔다.
오피니언 리더는 `기후-덥다`(14.6%)에 이어 `보수`(13.3%) 이미지를 많이 꼽았다.
대구역사문화연구소가 연구컨설팅기관 코뮤니타스에 의뢰해 지난달 16일부터 일주일 동안 대구 일반시민 700명, 오피니언 리더 300명를 상대로 대구 정체성과 관련한 설문한 결과다.

대구를 연상하는 단어 등 도시 이미지 외에도 정신문화 등 자원, 도시 브랜드, 삶의 품격과 공동체로 나눠 모두 4가지 부문에서 설문지를 구성해 직접면접방식으로 진행했다.
`대구`하면 떠오르는 정신문화 자원으로는 일반시민과 오피니언 리더 모두 `국채보상운동`(각각 28.3%, 33.1%)을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 `2·28대구학생의거`(14.8%, 12.0%), `불교 유산`(14.0%, 12.0%) 순이었다.
정신문화와 관련해 현대 주요 인물 가운데는 박정희, 노태우, 박근혜, 전두환 등 역대 대통령 인지도가 90% 이상으로 가장 높았고, 김수환 추기경, 전태일 노동운동가 인지도가 다음으로 높았다.

일반시민은 박정희와 김수환, 오피니언 리더는 김수환과 전태일 중요도와 활용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 브랜드와 관련해서는 `섬유도시`(84.6%, 88.3%), `안경도시`(68.9%, 72.3%), `패션도시`(66.3%, 80.0%)가 많이 꼽혔다.
도시 브랜드 중요도와 활용성에 있어 일반시민은 `섬유도시`, 오피니언 리더는 `공연문화도시`와 `교육도시`에 높은 점수를 매겼다.
삶의 품격과 공동체에 설문한 결과 일반시민 행복온도는 62.8℃로 `2016 국민여가활동조사` 전체 평균인 71.0℃보다 다소 낮았다.
오피니언 리더 행복온도 70.4℃로 일반시민보다 비교적 높았다.
대구역사문화연구소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대구시민이 공감하고 미래 가치를 담보하는 정체성 정립과 주요 자원을 콘텐츠·브랜드로 만들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