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45.27

  • 9.31
  • 0.35%
코스닥

773.33

  • 1.32
  • 0.17%
1/5

[김학주의 마켓 투자 키워드]

관련종목

2025-02-25 08:18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출증 ▶ 종목이야기 : 김학주의 마켓 투자 키워드

    출연 : 김학주 / 한동대 교수

    -----------------------------------------

    1. 코스피 주가지수 2500시대에 들어섰습니다.

    미국 연준(FRB)에 이어 유럽중앙은행(ECB)도 양적완화 철회 속도를 늦추려는 모습이고,

    그래서 증시는 더 탄력을 받고 있는데요. 코스피 2500시대, 교수님께서는 어떻게 보시나요?

    ▶ 금리의 근거는 물가, 물가는 의도적 조작 가능

    ▶ 양적완화를 계속하려는 의도는 불균형 때문

    ▶ 신흥시장 자금 이탈 시 글로벌 금융시스템 '위험'

    ▶ 취약 계층 위한 재정 지출…부양 정책 총동원

    ▶ 양적완화로 인한 자산 거품…호의적 투자 환경

    2. 그렇다면 이렇게 불균형이 심화되는 환경 속에서 어떤 업종이나 종목들을 보아야 할지 투자전략을 말씀해 주세요.

    ▶ 바벨 전략

    중간위험도 자산에 투자하지 않고

    보수적 자산과 위험도가 높은 자산

    양쪽 값만으로 자산 배분을 하는 전략

    투자구조 역기의 모양과 비슷

    ▶ 바벨 전략 "어중간한 자산은 피하자"

    ▶ 안정적 수익 채권 + 신용도 낮은 기업 채권

    ▶ 세금 피하기 위해 금 투자 수요 증가 전망

    ▶ 구경제 → 신경제 : 빅데이터, IOT, 신재생에너지

    ▶ 불균형 심화되는 상황, 주가지수ㆍETF 투자 합리적

    ▶ 신경제 관련 대형주 합병 통해 대형화 가능성

    ▶ 주가 지수, 위험 대비 수익률 높을 것

    ▶ 구경제 석유 → 신경제 구리ㆍ리튬

    3.그런데 브렌트유 가격이 배럴당 60달러를 넘어섰습니다.

    이제는 구경제조차 회복 국면에 진입한 것은 아닙니까?

    ▶ 정유, 화학, 조선, 건설(플랜트)…유가 민감 업종

    ▶ 유가상승 배경

    1. OPEC 감산

    2. 셰일 오일 생산 정체 논란

    (기술적 한계 vs 유전 고갈)

    ▶ 셰일 오일 비교적 쉽게 생산량 조절 가능

    ▶ OPEC 감산 효과에도 유가 반등 지속에 대한 의구심

    ▶ 유가 상승 시 다시 OPEC국가 산유 경쟁 불가피

    ▶ 전기차 등 석유 수요 감소 추세…산유국 조바심

    ▶ 유가 배럴당 80달러 이상 시 증시 악재

    4. 신경제 가운데 바이오가 한 축인데요. 한미약품의 예에서 확인했듯이

    R&D의 성패에 따라 기업가치의 변동폭이 너무 심한 것 같습니다.

    투자위험이 덜한 바이오 산업은 없습니까?

    ▶ 바이오 산업, 연구 개발 없이 발전만 지속

    ▶ 바이오, 투자 위험 적고 성공시 높은 수익 가능

    ▶ 앱클론, 항체 개발 업첵…경험과 이해력 확보

    ▶ 앱클론, 대주주 스웨덴왕립과학원…글로벌 경쟁력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