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의 기반 기술로 관심을 모았던 블록체인을 응용한 혁신적인 서비스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블록체인이란 전 세계에 점 조직으로 있는 컴퓨터에 데이터를 분산시킴으로써 파괴 또는 손상이 힘든 네트워크를 만드는 기술을 말한다. 모두가 서로를 감시하는 분산형 시스템이다. 상호 신뢰 관계가 없는 불특정 다수의 참가자 간에 권리의 이동을 실현하는 데 적합하다. 비트코인으로 대표되는 암호화폐의 기반 기술로서 이용되고 있고 비트코인의 거래이력을 가리켜 블록체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블록체인과 기존 스킴의 차이은행이나 증권회사 등 기존의 스킴에서는 중앙관리자가 거래대장을 관리하며 모든 거래는 그것을 통해 이뤄진다. 이때 이용자는 은행이나 증권회사 등의 중앙관리자를 신뢰하면 되고 거래상대를 신뢰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중앙관리자는 신뢰에 필요한 업무와 시스템을 운용해야만 하므로 그 비용은 거래할 때 수수료로서 이용자가 내야 한다.
반면 블록체인에 의한 분산 관리는 참가자 각각이 거래대장을 관리한다. 거래가 이뤄졌을 때는 당사자가 그 사실을 전체 참가자에게 브로드캐스트하고 수신자는 자신의 거래대장에 그 내용을 반영한다. 만약 참가자 전원이 정직하고 통신 네트워크도 이상적이라면 전체 참가자의 거래대장 내용은 항상 일치할 것이고 문제도 생기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악의를 가진 참가자가 상대를 속이고 이익을 취하고자 거짓 정보를 보내기도 하고 네트워크에 의한 통신지연이 일어나기도 하며 통신지연을 악용해 부정을 저지르는 등의 문제도 발생한다. 이러한 악의를 가진 공격을 상정하여 블록체인에서는 분산관리했던 거래대장에 대해 `작업증명(Proof of Work)에 의한 대장의 정당성 증명`을 함으로써 부정한 거래를 배제하고 안전한 거래가 이뤄지도록 한다. 비트코인이 성공한 배경에는 이 `작업증명(Proof of Work)에 의한 대장의 정당성 증명`과 `채굴자에 의한 대장의 유지관리 작업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가 크게 작용했다.
▲ 해외의 블록체인에 대한 대응참가자의 분산 처리에 의해 유지되고 있는 비트코인. 현재 전 세계의 금융기관은 그 기반 기술인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혁신적인 서비스를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다. 블록체인은 지금까지는 주로 비트코인이라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하지만 이것은 기술적으로는 `상호적으로 신뢰관계 없는 불특정 다수의 참가자 간의 권리 이전`을 실현하는 데 적합한 구조다.
예를 들어 미국 나스닥은 미공개주 거래 시스템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구축했다. 유럽에서는 나스닥, 비자, 시티뱅크, 캐피탈원, 뉴욕증권거래소, BBVA, USAA, 골드만삭스, UBS, 뉴욕메론은행, Fidelity 인베스트먼트 등 대형 금융기관에서 블록체인을 이용하겠다고 발표했다.
▲ 마치며현재 블록체인은 금융 업계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그 원동력이 되는 것은 핀테크로 대표되는 완전히 새로운 기술이다. 블록체인은 기존의 구조를 덧칠할 수밖에 없는 큰 에너지를 갖고 있다. 국내 금융기관이 블록체인에 의한 지각변동에 빠르게 대응해 글로벌 시장에 뒤쳐지지 않기 바란다.
*이 콘텐츠는 ㈔한국모바일기업진흥협회의 부설 모바일경제연구소(facebook.com/kmeri2015, k-meri.com)에서 제공합니다.
*상기 기사는
한국경제TV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