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속전속결로 성과연봉제 폐지가 진행되면서 대안으로 떠오른 것은 직무급제입니다.
하지만 은행권에서는 노조 반발이 거센 직무급제보다 이익배분제를 통한 임금체계 유연화를 우선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조연 기자입니다.
<기자>
성과연봉제는 폐지됐지만, 연공서열식 호봉제 폐지를 위한 은행권의 움직임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최근 윤종규 KB금융그룹 회장은 정기조회사를 통해 "초과이익에 대해 당당히 공유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이익배분제를 합리적으로 재정비 할 방침을 밝혔습니다.
윤 회장이 이익배분제 검토를 본격 지시한 것은 지난 연말부터로, 일정부분 우리사주를 지급하거나 성과 보상을 주식으로 수여하는 '마일리지 스탁' 방식 등이 거론됩니다.
KB금융 측은 직원들과 초과이익을 나누고 주인의식을 심어주기 위한 것이라며 취지를 밝혔지만, 은행업계에서는 성과급제의 기본인 '임금체계 유연화'를 위한 행보로 풀이하고 있습니다.
이익배분제는 회사가 초과 이익을 달성할 경우 이익의 일정 부분을 성과급으로 지급하는 임금제도로, 단순 성과금·상여금과 달리 이익 창출 기여도에 따라 비율이 차등화 될 수 있습니다.
현재 신한은행이 과·차장급 이상 초과이익배분제를 실시하고 있으며, 하나은행은 일회성 이익배분제를 올해 실시, 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은 이익배분제 도입을 검토 중입니다.
이처럼 은행들이 앞다퉈 이익배분제를 꺼낸든 것은 성과연봉제 대안으로 꼽힌 '직무급제'의 실질적 도입이 적잖은 시간일 걸릴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입니다.
직무급제는 업무 성격이나 난이도에 비례해 급여를 결정한다는 것이 핵심으로, 미국과 유럽 등 산별교섭이 활성화된 선진국들이 직무급제 중심의 임금체계를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금융권 노조에서 "또 다른 직무 차별"이라며 적극 반발하고 있어 도입에 난항이 예상됩니다.
<인터뷰> 은행업계 관계자
"직무를 등급별로 나눠야 하는데 어느 직무가 더 어려운지 판별 어렵다. 또 각 사업장의 업무별 임금이 나뉘어져 있으면 노조가 할 일이 없으니, 얼마나 저항이 심하겠나"
결국 폐지를 맞이한 성과연봉제나 새롭게 추진되는 직무급제 모두 평가 공정성이 쟁점인 가운데, 은행권 노사에게는 소통과 신뢰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한국경제TV 조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