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대통령이 수석 직까지 따로 두며 고용을 직접 챙기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한 데다 비정규직 이슈까지 대두되면서 기업들이 대응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정권 때 마다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며 채용의 한 축을 맡았던 은행권도 예외는 아닙니다. 은행권의 경우 최근 희망퇴직, 점포 통폐합 등 조직 슬림화, 효율 증대에 주력해 온 상황이어서 체감하는 부담감은 여느 때와는 사뭇 다른 분위기입니다. 보도에 김정필 기자입니다.
<기자>
대선 기간 내내 일자리·고용 확대를 선순위에 뒀던 대통령의 취임 후 수석직 신설, 직속 위원회 구성 등 거침없는 일자리 행보에 은행권의 고민과 눈치보기도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은행별로 인력수급·운용 계획에 따르면 될 일이지만, 규제산업이자 구조상 정부 정책과 입김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은행권이라는 점에서 체감 현실은 여느 기업들이 느끼는 부담감 그 이상입니다.
이명박·박근혜 정권 때 고졸 채용, 여성인력·경단녀 등 정책 프레임에 따라 채용에 나서고 규모와 성격을 저울질했던 은행권이 고심하는 이유는 채용을 늘릴 만한 여력이 충분치 않다는 점 때문입니다.
치열해진 은행간 경쟁체제에서 효율, 비용절감은 필수가 된 지 오래고 ICT·핀테크라는 변수가 등장하며 점포 통폐합, 희망퇴직 등 조직 슬림화에 주력해 온 것도 이와 무관치 않습니다.
최근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을 필두로 채용이 개시됐지만 본점 등 공채가 아닌 창구 텔러직군, 지역 직군에 한정돼 있는 가운데 대부분 은행은 하반기 대규모 공채 계획이 미정인 상태입니다.
대부분 전년 수준, 일부는 크게 줄인 채용이 불가피하다는 잠정 방침을 세워두고 있지만 새 정부의 예사롭지 않은 일자리 행보, 여론 추이를 주시하며, 채용 규모와 방식 등을 저울질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A 금융지주 관계자
“지점 수 줄일 수 밖에 없고 지점 내점고객 급감중인데 신규채용 많이 뽑을 수 있는 상황 아니다. 현실적으로.. 정부 새로 들어서고 고용·채용 프레임 정해지면 따라가는 분위기 아니겠냐”
많아야 지난해 수준 안팎의 채용으로 성의는 보이겠지만 이를 크게 웃도는 ‘줄 세우기식’ 채용은 어려울 것이라며 곧 진용을 갖출 경제팀과 금융수장의 성향, 은행장들과의 회동에 따라 세부 윤곽이 드러날 것이란 관측도 더해집니다.
신규 채용은 인력수급 계획을 크게 벗어나지 않되, 추가로 채용박람회, 중소기업·스타트업 취업연계 지원, 유연근무 등 우회적인 방법으로 합을 맞추는 안도 일부 논의되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달라진 경영환경으로 채용여건이 녹록치 않지만 핀테크, 글로벌 확대에 따른 인력, 찾아가는 서비스 등 새로운 형태의 고용 창출에 은행권이 나서며 결국 화답하지 않겠냐는 견해도 나옵니다.
<인터뷰> B 시중은행 관계자
“포터블 브랜치 찾아가는 영업, IT인력 많이 필요할 것이고 리스크 관리·글로벌·IT 인력에서는 아직 확장의 여지가 있지 않겠나..꼭 채용을 해야 한다면 은행권내 Job을 개발하는 것도 중요할 듯”
정책 동참에 "1등은 아니어도 꼴찌는 안 된다"가 일상화된 은행권이 결국 정책에 적극 동참하느냐, 아니면 효율증대, 슬림화를 지속해 나가느냐의 문제에 대한 선택지는 많지 않습니다.
결국 파급력이 큰 대기업과 금융공기업, 국책은행 등이 가늠자가 될 전망인 가운데 은행권 일자리는 정부 조직개편, 수장들의 면면, 지배구조 등 은행별 이해관계, 여론 추이 등에 따라 그 수준과 방향성이 정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경제TV 김정필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