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반도체 호황에 대한 이야기, 산업팀 이주비 기자와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앞서 리포트에서처럼 반도체 업종이 호황기를 맞아 우리 경제를 떠받쳐주는 모습인데요.
그런데 정작 관련 기업들은 웃고만 있을 상황은 아니라고요?
<기자>
반도체시장은 크게 시스템 반도체와 메모리 반도체로 나뉩니다.
시스템 반도체가 반도체 시장 전체의 70% 가량을 차지하는데요. 우리 기업이 반도체를 잘한다, 이건 메모리반도체고요. 올해 이 시장이 850억 달러, 약 100조 원까지 성장할 거란 전망이 나왔습니다.
이렇게 시장 자체는 굉장히 좋은데 이 좋은 시장이 우리 기업에게는 호락호락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업체들간의 경쟁이 치열해지기 때문입니다.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는 인텔이 최근 70억 달러, 8조원 가량을 투자한다고 발표했고요.
중국은 지난해부터 정부가 나서서 앞으로 약 십년간 1조 위안, 170억을 투자한다고 밝혔습니다.
중국이 공격적인 투자로 기술 개발에 나서면서 내년부터는 메모리 반도체의 일종인 낸드플래시를 양산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아직 우리가 중국보다 기술력이 앞서 있기 때문에 전체 시장의 파이를 나눠가져야할 그런 상황은 아니지만,
중국의 경우 자국 시장이 워낙 크기 때문에, 중국 정부가 중국산 제품만 쓰자고 강제화하면 우리 업체들은 그만큼 시장을 잃게 되는 거죠.
무엇보다 중국이 자금력으로 기술력 있는 회사를 인수할 경우 우리 기업에게는 위기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인터뷰] 박재근 / 한양대 융합전자공학부 교수
"중국은 어마어마한 재정 파워를 갖고 있기 때문에 기술 M&A를 할 것이다. 양산한다고 하면 빨리 SK하이닉스를 따라잡을 것이다. 그렇다면 SK하이닉스 정말 위기냐. 3D낸드는 위기다"
반도체는 대표적으로 사이클을 타는 업종인데요. 전세계 반도체를 공급하는 몇 안되는 회사들이 공급 물량을 조정하면서 가격을 떠받치는데, 중국업체가 대량 생산해내면 속수무책이 될 가능성 높아지게 됩니다.
때문에 우리는 계속 기술력으로 중국 업체들을 따돌려야만 하는데요.
특히 SK하이닉스의 경우 상대적으로 기술력이 약한 낸드플래시에 대한 기술 확보와 제품 양산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앵커>
한때 일본도 반도체 강국이었던 걸로 아는데. 어느 순간 우리 업체한테 그 자리를 내줬거든요. 우리가 반면교사 삼을 점은 어떤 게 있을까요.
<기자>
일본이 1980년대 미국 반도체 기술을 따라잡았는데, 한마디로 권불십년이었습니다.
90년대 중반부터 삼성이 서서히 시장을 주도하게 됐기 때문입니다.
앞서 반도체가 사이클을 타는 업종이라고 말씀드렸는데, 특히 메모리 반도체의 경우 타이밍 사업으로도 불립니다. 선제적인 투자가 매우 중요한데 일본이 그 부분에서 약했던 거죠.
다른 업체보다 앞서서 투자를 하고 가격이 가장 비쌀 때 투자비를 회수해야 하거든요. 이후 후발업체가 들어왔을 때는 적절하게 수급을 조절하면서 시장 지배력을 유지해야 하는데 투자가 적기에 안 되다 보니 고기술의 제품 양산이 안 된 거죠.
때문에 전문가들은 앞으로 무인자동차나 IoT, 빅데이터 등 새롭게 등장할 시장에 선제적으로 들어갈 수 있는 여건을 갖춰놔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또 신상품을 개발하는 능력, 삼성의 경우 낸드를 하고 있지만 실제 돈을 버는 건 낸드를 이용한 SSD라고 하는 낸드플래시 저장장치거든요. 이런 제품을 만들어 시장을 선도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전체 반도체시장 70%를 차지하는 시스템 반도체, 현재 미국이 장악하고 있는데요.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 기술력 있는 회사를 인수합병 해서 그 쪽 시장 점유율을 조금씩 키워야 할 필요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반도체는 현재 주요 대기업이 워낙 잘하고 있으니까 정부도 크게 관여하고 있지 않은데, 반도체 업계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 중 하나가 인력 문제거든요. 국가 차원에서 인력 유출 문제 예방을 위해 반도체 관련 국가 프로젝트가 유지돼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주장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안기현 / 반도체협회 상무
"좋은 인력들이 반도체 산업에 많이 와야 하는데 학교에서 배출되는 학교에서 배출돼 산업으로 가는 인력이 수요만큼 그렇게 많지는 않습니다. 공급 자체가. 공급을 많이 늘리는 일이 필요할 것 같고요."
<앵커>
네 지금까지 산업팀 이주비 기자와 호황기의 반도체 산업에 대한 얘기 나눠봤습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