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유례없는 수주절벽 속에 대우조선 등 조선업 구조조정이 갈지자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대우조선의 경우 자본잠식, 수주 감소, 유동성 위기 등 제반 변수가 산적한 상황에서 산업재편 마저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어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정필 기자입니다.
<기자>
자본잠식, 수주 급감, 유동성 우려 등 구조조정이 진행중인 대우조선을 둘러싼 정황은 ‘설상가상’ 격입니다.
구조조정 컨설팅을 맡은 맥킨지의 보고서는 대우조선의 독자생존이 어렵다는 진단을 내리며 정부와 채권단, 업계의 예상과 크게 엇갈렸습니다.
10월말로 발표를 늦추게 된 이유라던 컨설팅사의 보고서에 대해 정부와 업계가 애써 의미를 축소하면서 이달 말 나올 구조조정안도 현실성, 심각한 현황과 동 떨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옵니다.
당장 급한 것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 역시 조 단위 손실을 낸 대우조선의 완전자본잠식 해소.
정부가 국책은행을 통해 최대 수 조원대 자본확충을 검토중이지만 업황 부진, 당초 목표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주 급감 등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이마저도 여의치 않습니다.
여기에 내년에 4월 9,400억원을 시작으로 줄줄이 갚아야 할 회사채의 만기가 대기하고 있다는 점에서 최악의 상황에 내몰릴 수 있다는 경고음도 곳곳에서 들려오고 있습니다.
지원할 4조2천억원 중 미집행 된 1조원대가 남아있지만 자구안의 핵심인 1조원대 소난골 자금이 미뤄지고 사옥 매각 등이 여의치 않아 추가 지원이 불가피하다는 진단도 더해집니다.
유일호 부총리, 임종룡 금융위원장, 주형환 산업부 장관 등은 ‘신규 지원은 없다’는 입장을 견지하며 자구노력, 업계자율을 강조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추가 지원을 원천 배제하고 있는 것도 아닙니다.
자칫 대우조선이 문이라도 닫게 돼 최악의 상황을 맞게 되면 빌려준 돈만 수 십조원에 달하는 국책은행과 시중은행도 타격이 불가피해 경제 전반에 미칠 파장이 적지 않은 이유에서입니다.
<인터뷰> 대우조선 채권단 관계자
“신규자금 형태로 발주한 곳에 몇 조원씩 돈을 갚아줘야 하는 데 채권단이 그 상황 원치 않는다, 관련 의사결정 쉽지 않다. 그래서 기재부, 금융위 생각, 산자부 생각도 다른 것이다”
정부와 조율 전에 유출된 컨설팅사의 보고서에는 사실상 대우조선의 퇴출을 고하는 내용을 담았지만 정부와 채권단은 누구하나 이와관련해 선뜻 총대를 메지 않는 상황만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달 말 출자전환, 조선업 경쟁력 강화안이 발표되는 가운데 과연 구조조정 이해관계자들이 납득할 만한 해법과 돌파구를 제시할 수 있을 지, 겨우 연명만 시키는 것에 그치는 것 아닌 지, 시장은 의구심 가득한 시선을 보내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김정필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