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종합적인 노후준비수준을 평가하는 지표가 개발돼 조사해 본 결과,우리 국민의 평균 행복수명은 약 74.9세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의 기대수명인 평균 83.1세보다 약 8.2세나 적은 것으로 전반적인 노후준비 부족으로 생존기간 중 약 8년 이상 행복한 삶을 지속하기 어렵다는 의미다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가 서울대학교 노년은퇴설계지원센터와 공동으로 `행복수명지표`를 개발,20대 이상 경제활동인구 1,552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10일 밝힌 내용이다.
<연합뉴스 DB>
행복수명지표는 행복한 노후생활에 필요한 핵심 요소를 건강, 경제, 대인관계, 사회참여 및 여가활동 등 4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에 대한 객관적 준비 수준, 주관적 만족도, 준비 계획 등을 총 40개 문항으로 측정한다.
사회인구학적 특성별로 살펴보면 여성(76.3세)이 남성(74.0세)보다 행복수명이 길었고 기혼자(75.9세)가 미혼자(72.7세)보다,자녀가 있는 경우(76.3세)가 없는 경우(71.9세)보다 길었다.
또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행복수명도 길어졌다.
행복수명지표 연구를 맡은 서울대 소비자학과 최현자 교수는 "단순히 점수의 높고 낮음을 통해 노후준비 수준을 알려주던 기존의 지표와 달리 `수명`의 개념을 적용, 자신의 노후준비 수준을 기대수명과의 격차를 통해 제시함으로써 노후준비의 필요성을 체감할 수 있을 것"이라며 "부족한 부분을 채우려 노력하면 행복수명은 늘어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생명보험사회공헌위는 `백세시대(10×10)`를 의미하는 10월 10일을 `행복수명데이`로 지정하고 노후준비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이 지표를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