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08.59

  • 1.83
  • 0.07%
코스닥

768.00

  • 0.48
  • 0.06%
1/4

당국 감독에도 저축은행 금리산정 엉망

관련종목

2025-02-18 11:05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앵커>
    신용등급이 높을수록 대출금리는 낮아지는 게 상식이죠. 금융당국이 저축은행 대출금리를 신용등급에 맞게 산정하도록 지도감독에 나섰지만 여전히 상당수 저축은행들의 금리산정이 엉망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근형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7월 한 저축은행의 신용대출 금리입니다.



    신용 3등급부터 7등급까지 법정최고금리 한도(27.9%)에 가까운 고금리로 대출을 했습니다.



    이 저축은행은 9월이 되면서 금리 체계가 달라졌습니다.

    고객 신용등급을 감안해 금리에 차이를 둔 겁니다.

    금융당국이 저축은행 금리산정 방식에 대해 지도감독에 나선 결과로 풀이됩니다.


    [인터뷰] 금융감독원 관계자
    “상호저축은행법 시행령 감독규정 시행세칙 상에 금리를 부과할 때는 신용등급 체계여부를 갖추고 금리를 합리적으로 부과하도록 이번에 반영돼 있거든요.”


    하지만 개인 신용대출을 취급하는 35개 국내 저축은행 가운데 최근 두 달 사이 이렇게 신용등급에 맞게 금리체계를 바꾼 곳은 7개사(20%)에 불과했습니다.


    13개 업체는 여전히 신용등급과 금리수준이 비례하지 않았습니다.


    5등급 중신용자에게 27%대 최고금리 수준을 적용하는 저축은행도 4곳(HK, 공평, 세종, 머스트삼일)에 달했습니다.


    심지어 대형사에 해당하는 현대저축은행과 HK저축은행은 1등급 최고신용자에게도 20%대 고금리를 적용했습니다. 이 업체들은 지난 2분기중 소비자 민원(주로 여신·추심 관련)이 가장 많았던 두 곳으로 꼽힙니다.


    금감원은 최근 검사인력 부족을 이유로 저축은행들의 자발적인 금리체계 개선을 촉구하고 나섰지만 꿈쩍하지 않는 저축은행들의 대응을 고려할 때 역부족이라는 지적입니다.


    한국경제TV 이근형입니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