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중국 헝셩그룹이 오는 18일 코스닥에 입성하는 등 올 들어 중국 기업 상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올해에도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중국 기업이 나오는 등 중국 기업 리스크는 여전합니다.
문제는 관리감독하는 거래소와 상장주관 증권사들이 나몰라라 하면서 투자자들만 애를 태우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 최경식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우리 증시에서 중국 기업 리스크가 또 불거졌습니다.
오는 18일 코스닥에 입성하는 헝셩그룹을 포함해, 올해 국내 증시에 상장했거나 연내 상장을 계획 중인 중국 기업은 6곳에 달합니다.
하지만 중국 기업들의 국내 시장진출이 활발하지만, 중국 종목투자에 대한 우려감은 좀처럼 사라지지 않고 있습니다.
실례로 중국 원양자원은 지난 4월에 발생한 허위공시 문제로 인해 결국 관리종목에 지정돼, 중국 고섬 사태의 여진이 남아있는 투자자들에게 또 다시 충격을 던진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중국 기업 상장을 담당하는 유관기관들이 적절한 예방책을 세워줄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실제로 제대로 된 기능을 수행할지 의구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과거 고섬 사태가 발생한 이후 한국거래소는 해외기업에 대한 회계실사 요건을 강화하고, 주관사가 공모주의 5%를 의무인수해 6개월 간 보유토록 하는 등 방지 대책을 내놓은 바 있습니다.
하지만 해외에 본사나 공장이 있다는 이유로, 해당 기업에 대한 상시적인 실사나 공시에 대한 사실 확인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고, 사후 법적인 책임 추궁도 현실적으로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됩니다.
<인터뷰>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중국 기업들의 경우 회계 투명도가 낮기 때문에, 개별 기업들을 제대로 감시하거나 모니터링 하기가 쉽지 않은 측면이 있다."
더욱이 중국 기업의 상장에 관여하는 거래소와 증권사는 여전히 중국 기업 리스크와 관련한 추가적인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책임 회피와 실적 쌓기에만 급급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거래소는 원양자원 사태가 발생한 이후 규정대로 상장을 검토했고, 회계법인도 회계 준칙에 따라 해당 기업을 살폈다는 원론적인 입장만 되풀이하고 있습니다.
또 자신들의 심사 이전에 상장을 주관하는 증권사에 1차적인 책임이 있다며, 투자자 보호 책임을 외면한 채 문제의 원인을 오로지 증권사에 전가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거래소가 상장 실적 쌓기에 매몰돼 부실한 심사를 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상장주관사인 증권사들의 안일한 대처도 도마에 오르고 있습니다.
상장주관사들은 중국 기업들과의 계약을 통해 수수료 등 실적을 쌓는 입장인 만큼, 뚜렷한 방지 대책은 커녕 부실한 기준으로 중국 기업 상장에 나선다는 지적입니다.
이렇게 거래소와 증권사가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한다면, 결국 피해를 보는 것은 애꿎은 개인 투자자들 입니다.
전문가들은 중국 기업 상장에 관여하는 유관기관들이 뚜렷한 방지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책임 회피와 실적 쌓기에만 열을 올린다면 제 2의 고섬 사태로 인한 피해는 언제든 재발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이에 따라 회계와 현지 실사 등을 보다 강화해, 처음부터 중국의 우량기업들을 발굴해내기 위한 노력이 뒤따라야 함은 물론, 상장 이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시장 교란 행위에 대한 법적 책임을 명확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한국경제TV 최경식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