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54.06

  • 17.46
  • 0.65%
코스닥

768.27

  • 10.00
  • 1.28%
1/4

3월말 비정규직 615.6만명...여성, 고령자 비정규직 급증

관련종목

2025-02-20 16:34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비정규직 근로자가 1년새 14만4000명 증가하고 정규직과 비정규직 근로자의 임금 수준 격차는 좁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획재정부가 26일 발표한 ‘2016년 3월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현재 비정규직 근로자는 615만6000명으로 전년동기대비 2.4%(14만4000명) 증가했다.

    이는 비경제활동인구 상태인 여성과 60대 이상 고령층의 구직 활동이 확대됐기 때문으로 여성 비정규직 인구는 남성에 비해 급증했다.

    1분기 말 남성 비정규직 근로자는 276만1000명으로 0.3%(8000명) 증가한 데 비해, 여성 비정규직 근로자는 339만5000명으로 4.2%(13만7000명) 급증했다.

    연령계층별로는 1분기 말 60세 이상 비정규직 근로자는 14만7000명으로 12.3% 늘었고 50대도 3만명으로 2.2% 증가했다.

    이에 반해 30대는 3만8000명, 3.6% 줄었다.

    한시적 근로자(비자발적 사유로 계속근무를 기대할 수 없는 근로자)와 시간제 근로자(파트타임 등 근로시간이 짧은 근로자)도 증가했다.

    1분기 말 한시적 근로자는 357만7000명으로 전년동기대비 4.7% 증가했고, 시간제 근로자는 222만2000명으로 전년동기대비 6.2% 늘었다.

    기재부 관계자는 “가사와 일을 병행하려는 여성과 여가-건강 등의 이유로 파트타임을 희망하는 고령자 구직자가 증가해 시간제 근로자가 늘었다”고 설명했다.

    1분기 말 전체 임금금로자(1923만3000명) 중에서 비정규직이 차지하는 비중은 32%로 전년동기와 같았다.

    이 비중은 지난 2012년(이하 1분기 말 기준) 33.3%, 2013년 32.3%, 2014년 32.1%로 하락세를 이어가다가 2015년 이후 32%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정규직이 100만원을 벌 때 비정규직은 89만4000원만 받는 것으로 집계됐다.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 임금 수준은 지난 2014년(이하 1분기 말)88.8%에서 2015년 88.0%로 하락했다가 올해 89.4%로 1.4%포인트 상승했다.

    기재부는 정규직-비정규직 간 임금격차가 완화되고, 비정규직 근로자의 퇴직급여, 유급휴일 등 근로복지 수혜율도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한국경제TV    박준식  기자
     parkjs@wowtv.co.kr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