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세돌 프로기사회 탈퇴 배경은 도대체 뭘까.
이세돌 프로기사회 탈퇴가 현실화 되면서 ‘이세돌의 불만’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세돌 프로기사회 탈퇴를 두고, 프로기사의 수입이 어떻게 쓰이는지도 관심이다.
이세돌 9단이 프로기사회에 탈퇴서를 제출하면서까지 불만을 표출한 `수입 공제` 제도가 도마 위에 올랐다.
이세돌 9단은 기사회가 회원의 대국 관련 수입 중 3∼15%를 일률적으로 공제하는 것이 불합리하다며 지난 17일 친형인 이상훈 9단과 함께 양건 프로기사회장에게 탈퇴서를 전달했다.
프로기사회는 해외 기원 주최 대회에서 올린 수입에서는 3%, 국내 대회 수입에서는 5%를 떼고, 국내 주최 상금제 대회에서는 수입의 15%를 공제한다.
공제는 1967년 기사회 출범 초기부터 이어온 제도다. 공식 규정과 정관에도 관련 내용이 명시돼 있다.
양건 회장은 "과거부터 해온 일이다. 기사회 규정이 생기고서 바뀐 적은 없다"며 공제 제도의 역사성을 설명했다.
기사회는 조훈현 9단이나 이창호 9단 등 국내·세계대회를 휩쓴 `전설` 기사들도 공제 제도를 준수해왔다고 강조한다.
하지만 이세돌 9단은 상금을 많이 획득하는 상위 랭커 기사가 기사회 적립금에 많은 기여를 하는 것은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보인다.
작년 프로기사 상금 랭킹을 보면 1위 박정환 9단은 8억 1300여만원의 상금을 거뒀다. 2위 김지석 9단은 5억 8000만여만원을 벌었다.
이세돌 9단은 지난해 3억 1700여만원으로 3위를 차지했다. 그는 2014년에는 역대 최다인 14억 1000만원의 상금을 수확하기도 했다.
그러나 10위권 밖의 프로기사들 수입은 더욱 큰 폭으로 줄어든다. 결국, 기사회 기금 대부분이 상위 기사들의 수입으로 채워지는 구조다.
기사회 기금은 회원 복지나 바둑 보급활동에 들어간다. 은퇴한 기사에게 지급하는 위로금으로도 상당 부분 쓰인다.
이세돌 9단은 현재 공제의 불합리성을 주장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아예 기사회 테두리 밖으로 나가겠다며 탈퇴를 원하는 입장이다.
양 회장은 이세돌 9단과 최대한 대화로 문제를 해결하고 싶다면서 "공제 문제는 충분히 이야기해볼 수 있는 주제"라며 "기사회 대의원 대회나 총회에서 논의할 수 있다"며 논의 결과에 따라 제도 변경 가능성도 열려 있음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