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처럼 최근 10조원이 넘는 대형 M&A가 늘어나고 사모 자본시장이 성장하는 가운데 우리 기업들은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요?
토론에 참석한 국내외 금융CEO들은 우리 기업들이 수익 구조를 다변화하고 더욱 공격적인 M&A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엄수영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글로벌 M&A시장 규모는 4조2천억달러, 우리돈 약5,200조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중국만해도 지난해 680억달러, 우리돈 83조원 규모의 해외 기업을 인수했습니다.
하지만 우리 기업들의 M&A 실적은 이에 비하면 부진한 상황.
더구나 대기업들의 지배구조가 2, 3세로 넘어가면서 지난해 삼성물산 합병에서 보듯 의사 결정도 쉽지 않은 만큼 국내외 금융CEO들은 우리 기업들이 M&A에 보다 공격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인터뷰>임석정 CVC캐피탈파트너스 한국 회장
"제조업만 하다보니까 이제는 중국기업들이 따라와서 우리기업들이 경쟁력이 많이 돋보이지 않습니다.
젊은이들이 대학 졸업하고 해외 유학갔다와서 영어도 잘하고 세계화된 인재풀이 많이 있습니다. M&A를 하면 보낼 수 있는 국내 인재들이 얼마든지 있습니다."
또 한국 IB 시장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수수료 수입에 의존하는 구조에서 탈피해 수익 구조를 다변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인터뷰> 존워커 한국맥쿼리그룹 회장
"한국은 아시아 최고의 건설사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최대 국가 저축률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인프라 건설로도 보더라도 아시아 국가들의 선망의 대상입니다. 한국이 인프라 금융 아시아의 허브로 부상할 수 있으려면, 연기금 등 국민 저축이 인프라쪽 투자에 투입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기업들 자체도 금융산업이 규제산업이라는 생각을 굳히기 보다 규제를 완화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크를 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인터뷰> 최현만 미래에셋그룹 수석부회장
"발전시킬 수 있는 영역, IB 역할이 굉장히 있는데 규제가 있음으로 인해서 소위 자기신탁과 유가증권신탁 등의 규제가 아직 많이 풀려야 합니다."
자본시장의 판도가 변하고 있는 만큼 우리나라의 IB 시장도 발빠른 준비가 어느때보다 필요한 시점입니다.
한국경제TV 엄수영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