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난치성 질환인 `파킨슨병`의 악화를 막을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냈다.
파킨슨병은 뇌 속의 독성 단백질인 `알파시누클린`을 얼마나 잘 다루느냐에 악화 여부가 달렸다. 알파시누클린 단백질이 뇌 세포 사이를 넘나들며 퍼지면 신경세포가 퇴행하고 사멸하기 때문이다.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신경과 이필휴 교수팀은 파킨슨병 동물모델에 사람의 `중간엽 줄기세포`를 투여한 결과 알파시누클린 단백질의 세포 사이 전달은 물론 뇌 부위 이동이 억제돼 신경보호 및 행동 개선효과가 관찰됐다고 21일 밝혔다.
이런 연구결과는 생명과학 분야 권위지인 `셀리포트`(Cell Reports) 2월호 인터넷판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파킨슨병을 일으킨 쥐에 사람의 골수에서 채취한 중간엽 줄기세포를 주입하고, 아무것도 주입하지 않은 대조군 쥐와 경과를 비교했다.
중간엽 줄기세포는 인체 내의 다양한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이 결과 중간엽 줄기세포를 주입한 실험군에서는 대조군과 달리 파킨슨병이 악화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런 결과에 대해 "중간엽 줄기세포가 뇌 속에서 알파시누클린 단백질에 대응해 신경보호 효과를 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구체적으로는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분비되는 `갈렉틴-1`(Galectin-1)이라는 물질이 `NMDA 수용체`에 작용해 알파시누클린의 세포 간 이동 및 전파를 억제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NMDA 수용체는 단백질로 이뤄진 신경세포 속 물질로, 세포 사이의 통신을 이어주며 세포의 사멸을 조절하는 구실을 한다.
이필휴 교수는 "아직까지 신경계의 퇴행을 억제해 파킨슨병을 지연시킬 수 있는 약물은 전무하다"면서 "NMDA 수용체는 현재 항경련제나 치매 등의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만큼 추가 연구 결과에 따라서는 파킨슨병의 자연적 진행을 지연시킬 수 있는 조절 약물로도 개발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