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16.28

  • 10.96
  • 0.41%
코스닥

869.92

  • 1.56
  • 0.18%
1/2

한국 주력산업 수익·성장성 하락세…美·中·日에 뒤져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한국 주력산업 수익·성장성 하락세…美·中·日에 뒤져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화학과 자동차 등 우리나라 주력 산업의 수익성과 성장성이 경쟁국인 미국, 중국, 일본에 뒤처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7일 한국경제연구원이 내놓은 `대한민국 주력산업의 글로벌경쟁력 비교` 보고서에 따르면 2011년 금융위기 이후 우리나라 주력 산업에대한 미국·일본·중국 기업의 매출 증가율은 상승세로 돌아선 반면 우리나라는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해운업의 경우 한국의 매출증가율은 금융위기 이전인 2010년 40.08%에서 2014년 -16.53%로 크게 하락해 4개국 중 가장 낮았다.

특히 경쟁국인 일본과 중국의 해운업 매출증가율은 2011년을 기점으로 성장세로 돌아선 데 반해 우리나라는 2012년 이후 마이너스 성장을 이어가는 등 상반된 추이를 보였다.

전기·전자업의 경우 2010년 한국의 매출증가율은 25.55%로 4개국 중 가장 높았지만 2014년에는 4.1%를 기록해 미국 5.94%, 일본 6.68%, 중국 9.84%보다 낮았다.

2010년 중국(40.1%)에 이어 23.03%의 높은 매출증가율을 보였던 자동차도 2014년 -0.36%로 하락해 최하위를 기록했다.

화학업의 경우 2010년 한국의 매출증가율은 20.51%로 두 번째로 높았지만 2014년 -1.61%로 떨어져 4개국 중 가장 낮았다.

금융위기 이후 우리나라 주력 산업의 영업이익률 회복 속도도 경쟁국에 비해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철강업의 경우 한국의 영업이익률은 2010년 5.92%로 다른 경쟁국보다 높았지만 2014년 3.96%로 하락해 미국 6.55%, 일본 5.27%보다 뒤처졌다.

자동차업은 2010년 7.54%에서 2014년 3.77%로 감소해 미국 8.84%, 일본 5.91%보다 영업이익률이 낮았다.

신현한 연세대 교수는 우리나라 주력산업의 성장성과 수익성이 하락하고 있는 원인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매출원가율을 들었다.

특히 화학업에서 미국의 매출원가율은 약 30%대로 낮은 수준이지만 한국, 일본, 중국의 매출원가율은 60%를 넘어서는 등 효율성이 낮은 비용구조를 보였다.

또 한국은 자동차업에서 가장 높은 매출원가 구조를 가지고 있고 나머지 전기전자업, 해운업에서도 중국과 유사하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신 교수는 "매출원가 구조를 개선하지 않고서는 국내 기업이 글로벌 경쟁에서 계속 뒤처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