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01.24

  • 20.61
  • 0.83%
코스닥

677.01

  • 3.66
  • 0.54%
1/3

담양군 조선시대 백자 흑자 발굴, 출토된 그릇 보니…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담양군 조선시대 백자 흑자 발굴, 출토된 그릇 보니…

전남 담양군에서 조선시대 백자와 흑자가 발굴됐다.
담양군은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 지난 5월부터 용면 용연리 백자 가마터에 대한 발굴조사를 실시함에 따라, 최근 현장공개와 자문위원회를 개최했다고 3일 밝혔다.
‘용연리 백자 가마터’는 담양군 용면 금성산성 서쪽 산기슭에 위치해 1970년대 담양호가 준공되면서 만수위 지점에 놓여 수몰과 노출이 반복되는 지역이다. 최근 4대강 사업의 일환에 따라 담양호 둑을 2m 높이는 사업을 시행하면서 방류가 이뤄져 폐기장을 중심으로 유적의 대부분이 노출됐다.
이에 담양호의 정상적인 담수가 시작되면 유적이 완전히 수몰 훼손될 위험에 처해 있어 군은 문화재청지원을 받아 발굴조사에 들어갔다.
발굴조사 결과 그릇을 구운 가마터 2기와 실패한 그릇, 도지미 등을 버린 폐기장 2기 등이 확인됐으며, 2기의 가마는 자연 경사면을 낮게 파서 만들어진 형태로 규모가 서로 유사했다.
구조는 가마의 칸을 나눠 만든(分室) 오름가마(登窯)로 길이 18m, 너비 2.5~4m의 역사다리꼴 형태를 띠며 전형적인 조선 후기 가마의 특징을 보여준다.
또한, 출토유물은 조선시대 백자를 중심으로 흑자가 함께 확인되는 가운데 백자는 대접과 접시, 잔 등과 같은 음식과 관련된 생활용기가 주류를 이루며, 흑자는 호와 병 같은 운반 또는 저장 용기가 주로 확인됐다.
이 밖에 철화로 풀잎 등을 간략하게 그린 철화백자도 나왔으며, 시기는 가마의 구조와 그릇의 특징으로 보아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전반으로 판단된다.
이번 발굴조사의 가장 큰 성과는 전라남도에서 흑자와 백자가 함께 생산된 가마로는 최초로 그 의미가 크며, 온전한 형태를 갖춘 가마가 확인됨에 따라 앞으로 전라남도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도자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는 등 이 지역의 도자문화를 연구하고 지역민들에게 매장문화재의 중요성을 홍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담양군 관계자는 “용연리 가마터의 조사 성과를 군민들에게 널리 알려 교육 자료와 문화적 자원으로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며 “추월산과 담양호 주변에 분포하고 있는 많은 가마터의 보존과 활용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담양군 조선시대 백자 흑자 발굴, 출토된 그릇 보니…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김현경  기자
 khkkim@wowtv.co.kr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