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20세 이상 성인 기준으로 자산 상위 10% 계층에 금융자산과 부동산을 포함한
전체 부(富)의 66%가 쏠려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하위 50%가 가진 것은 전체 자산의 2%에 불과했다.
부의 불평등이 결국 소득 불평등보다 훨씬 심각하다는 뜻이다.
이같은 결과는 김낙년 동국대 경제학과 교수가 국세청의 2000∼2013년 상속세 자료를 분석,
한국사회 부의 분포도를 추정한 논문에서 밝혀졌다.
분석 결과 20세 이상 성인을 기준으로 한 자산 상위 10%는 2013년 전체 자산의 66.4%를 보유,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인 2000∼2007년 연평균인 63.2%보다 부의 불평등 정도가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평균 자산은 6억2,400만원이고, 자산이 최소 2억2,200만원을 넘어야 상위 10% 안에 드는 것으로 추정됐다.
2013년 상위 1%의 자산은 전체 자산의 26.0%로 역시 2000∼2007년(24.2%)보다 불평등이 심화됐다.
상위 1%의 평균 자산은 24억3,700만원으로, 자산이 9억9,100만원 이상이어야 상위 1% 안에 들어갔다.
여기서 자산에 들어가는 부동산은 당연히 공시가격 기준으로 계산된 것으로
이를 시가로 바꿀 경우 자산이 13억원을 넘겨야 상위 1%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0.5% 안에 드는 최고 자산층의 평균 자산은 36억5,900만원이었다.
이런 결과는 그간에 나왔던 국내외 연구진의 자산 불평등 추정 결과보다 심각한 것으로
가구가 아닌 개인을 기준으로 한 부의 집중도 분석이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편 우리나라에서 부의 불평등은 소득 불평등 문제보다 훨씬 심각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김 교수는 소득 기준 상위 1%가 전체 소득의 12.1%, 상위 10%는 44.1%를 차지한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었다.
반면에 자산 기준 상위 1%가 차지하는 비중은 20%대, 상위 10%가 차지하는 비중은 60%대로 소득 기준으로 따질 때보다 훨씬 커진다.
결과적으로 노동을 통해 얻는 소득보다 이미 축적된 부를 통해 얻는 수익의 불어나는 속도가 빠르다는 의미로,
`돈이 돈을 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결과로 분석됐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