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16.86

  • 2.00
  • 0.08%
코스닥

685.42

  • 3.86
  • 0.57%
1/3

"경기 둔화, 환율정책으로 맞서야"

관련종목

2024-11-16 00:24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앵커> 미국 금리인상 시점이 다가오고 중국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면서 우리 경제가 갈 길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금리 정책보다는 환율 정책을 통한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하고 나섰습니다.

    정원우 기자입니다.

    <기자> 미국 FOMC가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을 높이고 있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급격한 자본유출 가능성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금융연구원과 아시아금융학회 주관으로 열린 금리·환율 정책 세미나에서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경제동향분석실장은 "과거 미국 기준금리 인상시기에도 대규모 외화유출은 없었다"고 분석했습니다.

    1994년과 2004년 두차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당시 외국인들의 채권과 주식 투자 규모가 크게 줄지는 않았다는 분석입니다.

    특히 최근 S&P가 우리나라 국가 신용등급을 상향할 만큼 거시건전성이 양호한 수준이고 금리도 신용등급이 비슷한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수준이므로 자본유출 우려에 대해 선을 그었습니다.

    자본 유출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금리 정책이 아닌 환율정책으로 대응해야한다는 주장도 제기됐습니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고환율 정책은 수출을 늘리고 경기를 부양시킬 수 있고 또 우리나라 대외경제신뢰도가 높아지면서 미국 금리인상으로 인한 자본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중국과 일본은 과거 미국의 금리 인상에 환율정책으로 대응해 위기를 겪지 않고 오히려 경제성장의 기회가 됐다"며 우리나라도 환율정책으로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오정근 건국대 특임교수도 점진적인 원화 약세는 받아들이는 방향으로 환율 정책을 신축적으로 운용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습니다.

    오 교수는 과도한 자본유출이 문제가 되더라도 금리인상은 경기 둔화와 가계부채 상환 부담을 고려할 때 최소한의 선에서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습니다.

    한국경제TV 정원우입니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