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정부와 서울시가 기존 효율성 위주 정비·관리로 인해 생태계가 약화된 한강의 생태를 복원하고 관광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손을 잡고 통합선착장과 복합문화시설 등을 조성합니다.
최경환 경제부총리와 박원순 서울시장은 24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중앙정부와 서울시 간 한강 협력회의 결과로 `한강 자연성회복과 관광자원화 추진방안`을 공개했습니다.
이날 발표된 방안에 따르면 정부와 서울시는 서울시 한강구간을 7개 권역으로 구분해 권역별로 특화된 발전방향을 수립했습니다.
먼저 접근성과 생태여건이 뛰어난 여의-이촌권역을 우선협력거점 삼고 관광·생태거점과 수상교통 허브를 구축합니다.
하천흐름이 정체돼 수질오염과 악취 등이 발생한 샛강 합류부는 생태관광지로 탈바꿈하고, 이촌지역의 콘크리트 인공호안은 자연하안으로 재정비됩니다.
또 여의도 수변문화지구를 조성, 부두형 수상데크인 피어데크와 테라스, 무빙스토어 등의 다양한 문화·편의시설도 설치될 예정입니다.
이 외 마곡-상암 권역은 생태거점으로 친환경 수변공간으로 정비되고 초고속 페리인 한강 리버버스 선착장이 지어질 예정이고, 합정-당산 권역에는 한류관광을 위한 문화창작벨트와 문화컴플렉스가 들어섭니다.
반포-한남 권역은 수변여가공간과 상징녹지공간으로, 압구정-성수 권역은 도심여가공간과 친수공간, 영동-잠실-뚝섬 공간은 수상교통 거점으로 복합문화 허브로 새롭게 태어납니다.
마지막으로 풍납-암사-광진 권역은 역사와 문화를 테마로 역사 탐방루트가 조성됩니다.
이 사업은 오는 2019년까지 완료 예정으로 소요되는 총 예상 사업비는 3,981억원으로 민자유치 1,462억원을 제외한 2,519억원은 중앙정부와 서울시가 반반씩 분담합니다.
또 중앙정부와 서울시는 분산된 인·허가사항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통해 중앙정부와 서울시는 오는 2019년까지 4,000여개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또 오는 2030년 한강공원 녹지율이 57%에서 64%로 올라가는 생태환경 효과와 더불어 한강이용자수가 현 6천500만명에서 1억500만명으로 증가하고 외국인 관광객의 한강방문 비율도 12.5%에서 20%로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