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로봇산업은 차세대 신성장 동력으로 각광받고 있는 산업입니다.
국내에서도 기회를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데요.
먼저 갈수록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드론 기술의 진화를 살펴보겠습니다.
신선미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기자>
날개 길이 10cm, 무게 18g.
영국군은 아프가니스탄에서 이 초소형 드론을 아주 유용하게 썼습니다.
손바닥에 들어갈 만큼 아주 작지만 수풀과 바위 사이에 숨은 적을 수색하거나 정찰하기엔 안성맞춤입니다.
3개의 카메라에는 열화상 카메라도 포함돼 야간 촬영도 가능합니다.
상습적인 세금 체납자들의 자산을 추적하는 데에도 드론이 쓰이고 있습니다.
인도네시아는 1만7,000개가 넘는 섬으로 구성돼 있어 국토 전역을 실사하기란 사실상 불가능.
지난해 세금을 낸 사람도 인도네시아 인구 2억5천 명 가운데 90만 명에 불과합니다.
이에 인도네시아 정부는 지난 4월부터 세금납부가 의심스러운 농장주나 광산주의 토지에 드론을 날려 면적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세금을 추징하고 있습니다.
재난발생과 같은 위급 상황에서도 드론이 활용됩니다.
드론에 장착된 카메라와 영상인식 기술은 조난당한 사람을 정확히 발견합니다.
통제본부에 영상을 보내 구조를 요청하는 것은 물론, 필요한 구호물품 전달도 가능합니다.
이처럼 활용이 다양해지면서 드론 시장은 매년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스탠딩> 신선미 기자
"올해 세계 드론시장 규모는 8조 원.
10년 뒤면 100조 원 이상으로 성장해 전 세계 TV시장과 맞먹는 규모가 될 것이란 전망입니다."
하지만 국내 드론 시장은 아직 미미한 수준입니다.
취미형 드론에서 크게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데다, 개발 업체도 턱 없이 부족합니다.
드론의 기술력 확보는 물론, 안전사고 발생과 사생활 침해 우려에 대한 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인터뷰> 정동일 아이드론 대표
“드론은 하늘을 날아다니는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위험성을 갖고 있습니다. 실제 꼭 필요한 규제들 예를 들어 공항이나 군사시설, 사람들이 많은 곳에서는 비행을 하지 않도록하는 규제가 필요합니다.”
자동차가 인간의 발에 자유를 줬다면 시야와 손의 자유를 줄 드론.
드론 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산업 활성화 정책과 안전 규정이 균형을 이뤄 진행돼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경제 TV 신선미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