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26.81

  • 16.39
  • 0.63%
코스닥

773.65

  • 5.17
  • 0.67%
1/4

서울의 이혼··신혼부부보다 20년차이상이 훨씬 더 많아

관련종목

2025-02-19 00:18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지난해 서울에서는 결혼 4년 미만의 신혼부부보다 20년 이상 같이 산 부부들이 더 많이 이혼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서울시가 발간한 `통계로 본 서울 혼인·이혼 및 가치관`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서는 19,477쌍이 이혼했는데 특히 혼인 지속기간이 20년 이상 된 부부의 이혼 비중이 전체 이혼건수의 32.3%로

    4년 이내 신혼부부(22.5%)보다 10%p 가까이 높았다는 것.

    지난해 평균 이혼 연령은 남성은 47.8세, 여성은 44.8세로 20년 새 남성은 9.1세, 여성은 9.9세 높아졌다.

    아울러 지난해 이혼 부부 중 남성은 10명 중 4명, 여성은 10명 중 3명이 50세 이상으로 파악됐다.

    반면, 지난해 혼인건수는 64,823건으로 1990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평균 초혼연령은 남성이 32.8세, 여성이 30.7세로 10년 새 남성은 1.9세, 여성은 2.4세 높아졌다.

    남녀 모두 주 혼인 연령층은 30대 초반으로, 여성은 특히 지난해 처음으로 30대 초반이 38.4%를 차지해 20대 후반(36.7%)을 추월했다.

    새삼스러운 이야기도 아니지만 결혼과 이혼에 대한 가치관도 크게 변화하고 있다.

    2012년 서울시민의 43.1%가 결혼은 하는 게 좋다고 답했지만 지난해에는 42%만이 같게 답했다.

    `결혼은 선택사항`이란 답은 같은 기간 34.1%에서 41%로 늘었고, 반드시 해야 한다는 답은 19.1%에서 13.4%로 줄었다.

    성별로도 결혼에 대해 다른 태도를 보여 남성의 45%가 결혼은 하는 게 좋다고 답했지만,

    여성은 46%가 결혼이 필수가 아닌 선택사항이라고 답했다.

    이혼에 대한 시각도 많이 바뀌어 2012년 44.8%가 해선 안 된다고 답했지만 지난해에는 41.7%만 같게 답했다.

    이유가 있으면 하는 게 좋다는 응답은 10.4%에서 12.3%로 증가했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한국경제TV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