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63.50

  • 8.02
  • 0.3%
코스닥

777.51

  • 0.76
  • 0.1%
1/4

경남기업 상장폐지 피해 1조1천억··협력업체 줄도산 우려

관련종목

2025-02-20 09:02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성완종 전 회장이 이끌던 경남기업의 부실화로 금융권, 협력업체 및 개인투자자들이

    함께 부담할 손실이 1조1천억원 규모로 파악됐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15일 상장폐지된 경남기업에 대출(보증 포함)한 금융기관은 모두 17곳으로

    이 가운데 수출입(5,208억원), 신한(1,761억원), 산업(611억원), 농협(521억원), 수협(517억원), 국민(453억원),

    우리(356억원), 광주(326억원), 기업(229억원), 대구(21억원) 등 은행 10곳의 대출이 약 1조원대로 집계됐다.

    우리종금(49억원), SBI저축은행(45억원), KT캐피탈(25억원) 등 비은행 3곳의 대출은 118억원이었다.

    대우증권(190억원), 유안타증권(45억원) 등 증권사 2곳은 235억원을 빌려줬다.

    이밖에 서울보증보험(3,148억원)과 무역보험공사(28억원)가 주로 계약이행 보증 형태로 3,176억원을 지원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기관 17곳의 총대출은 1조3,500억원을 넘는다"며

    이중 담보가 없어 회수할 수 없는 손실액이 7,400억원대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수출입(200억원), 신한(132억원), 산업(109억원), 수협(62억원), 농협(56억원), 국민(50억원) 등 13개 금융기관은

    상장폐지된 경남기업 주식에서도 모두 750억원대의 손실을 봤다.

    이에 따라 금융권이 경남기업 사태로 입을 손실은 총 8,100억원대에 달할 전망이다.

    올해 2월 말 기준으로 1,623곳에 달하는 경남기업 협력업체가 볼 피해도 2,500억원대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회생절차에 들어갈 경우 채권에 대한 원금 회수율이 30% 수준"이라며

    "경남기업 협력업체가 받을 채권이 3,560억원 규모임을 감안하면 전체 손실액은 2,500억원 정도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영세업체 위주인 경남기업 협력업체의 줄도산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경남기업의 상장폐지로 개인투자자 7,900여 명이 떠안은 최종 손실은 약 350억원으로 파악됐다.

    경남기업 주식이 정상거래된 마지막 날 기준으로 성 전 회장, 관련 계열사 및 채권단을 제외한 주주가 보유한 시가총액이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한국경제TV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