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27.41

  • 4.12
  • 0.16%
코스닥

771.69

  • 1.43
  • 0.19%
1/4

노인 7명 중 1명은 '영양실조'건강위험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65세 이상 노인의 7명 중 1명은 식품 구입에 심하거나 상당한 어려움을 느끼는 상태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 식품을 사는 일이 버거운 노인들의 자살 생각 비율이 식품 구입엔 문제없는 노인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동덕여대 식품영양학과 양윤정 교수팀은 2008∼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보건복지부 주관)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 4451명을 조사한 결과 `지난 1년간 우리 가족 모두가 원하는 만큼의 충분한 양과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먹을 수 있었다`(식품안정성이 높은 그룹)는 비율이 31.9%(1418명)에 그쳤다고 1일 밝혔다. 이 결과는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양 교수팀에 따르면 `지난 1년간 우리 가족 모두가 충분한 양의 음식을 먹을 수 있었으나 다양한 종류의 음식은 먹지 못했다`(식품안정성이 가볍게 낮은 그룹)는 노인이 절반을 약간 넘었다(2396명, 53.8%). `지난 1년간 경제적으로 어려워 가끔 먹을 것이 부족했다`(식품안정성이 상당히 낮은 그룹) 노인은 488명(11%), `지난 1년간 경제적으로 어려워 자주 먹을 것이 부족했다`(식품안정성이 심하게 낮은 그룹)는 노인은 149명(3.3%)으로 조사됐다. 어려운 살림 탓에 식품안정성이 상당히 또는 심하게 낮은 노인이 전체 노인의 14.3%에 달한 것이다.
UN국제식량농업기구(FAO)는 식품안정성을 "사람이 활기차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충분하고 안전하며 영양가 있는 식품을 늘 확보하고 있는 상태`라고 규정했다. 따라서 경제적 이유 등으로 식품의 구입 자체가 힘들다면 식품안정성이 낮은 셈이다.
노인의 식품안정성은 생애의 다른 어떤 시기보다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 전체 노인의 거의 절반(2011년 기준 48.8%,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자료)이 빈곤선(線) 아래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안정성이 낮을수록 식품 섭취량을 줄이거나 설탕ㆍ지방이 함유된, 즉 에너지 밀도가 높은 식품을 많이 찾는 경향을 보인다. 과일ㆍ채소ㆍ유제품 등 건강에 이로운 식품의 섭취량은 감소한다. 식품안정성이 낮으면 또 비만ㆍ당뇨병ㆍ고혈압ㆍ고지혈증 등 만성질환 위험이 높아질 뿐 아니라 우울증ㆍ자살 충동 등 정신건강에도 나쁜 영향을 미친다.
이번 연구에선 상대적으로 고령ㆍ여성ㆍ저소득ㆍ독거ㆍ일상생활에 지장이 있는 노인의 식품안정성이 더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 노인의 식품안정성이 낮을수록 스트레스를 더 많이 느끼고 우울증상을 자주 경험하며 자살을 고려하는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식품안정성이 낮은 독거노인의 자살 고려 비율은 55.1%에 달했다. 이는 가족과 함께 살면서 식품안정성이 높은 노인의 자살 고려 비율(17.6%)에 비해 3배나 높은 결과다. 식품안정성이 높은 독거노인의 자살 고려 비율은 21.8%였다.
식품 사기도 빠듯하거나 부족한 독거노인의 우울증상 경험률은 39.9%로, 식품 구입에 애로를 느끼지만 가족과 함께 사는 노인(26.6%)이나 식품안정성이 높으면서 가족과 동거하는 노인(13.8%)보다 훨씬 높았다.
이번 연구에선 노인의 영양 섭취 상태가 전반적으로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식품안정성이 높은 노인마저도 칼슘(뼈 건강 좌우)ㆍ칼륨(혈압 조절)ㆍ비타민 B2(에너지 생성)의 평균 섭취량이 권장량의 각각 68.3%ㆍ77.5%ㆍ68.4%에 불과했다. 식품안정성이 낮을수록 콩류ㆍ채소ㆍ버섯ㆍ과일ㆍ유지류ㆍ육류ㆍ계란ㆍ어패류ㆍ우유ㆍ유제품의 섭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품안정성이 낮은 노인이 가장 우선 줄이는 식품은 과일과 어패류였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한국경제TV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