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15.49

  • 31.57
  • 1.24%
코스닥

724.01

  • 8.30
  • 1.13%
1/6

지난해 韓 물가상승률,41년만에 日보다 낮았다··디플레 우려 현실화?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지난해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1년 만에 처음으로 일본보다 낮았던 것으로 나타나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물가상승률이 낮다는 것은 그만큼 경기의 활력이 떨어진다는 뜻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5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과 일본의

2013년 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각각 1.3%, 2.7%로 한국이 일본보다 1.4%p 낮았다.

이처럼 한국의 물가 상승률이 일본에 못 미친 것은 오일쇼크가 불어닥친 1973년 이래 41년 만에 처음으로

한국과 일본의 1973년 물가 상승률은 각각 3.2%와 11.6%였다.

당시 중동전쟁이 일어나 석유 가격이 수직 상승하자 세계적인 인플레이션이 발생했고

일본에 비해 공업이 상대적으로 덜 발달돼 있던 한국은 유가상승으로 인한 타격을 덜 받았기 때문이다.

이후 한국의 물가상승률은 2013년까지 40년간 단 한번도 일본보다 낮았던 적이 없었고

1974년 일본보다 1.1%p 높았던 것을 시작으로 1980년에는 격차가 20.9%p까지 벌어졌다.

일본의 거품경제가 꺼지기 시작한 1992년부터 2013년까지 22년간 일본은 마이너스 또는 0∼1%대의 낮은 물가상승률을 기록했으나

같은 기간에 한국의 물가는 최고 7.5%(1998년)까지 올랐었다.

지난해 일본은 소비세 인상과 엔화약세에 따른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물가상승률이 1991년(3.3%) 이래 최고인 2.7%를 기록했지만,

한국은 농축수산물, 석유류 제품 가격 하락으로 1.3%에 그쳤다.

특히, 지난해 물가상승률의 산출 기반이 되는 2013년의 물가상승률도 1.3%로 매우 낮았다는 점에서

저성장·저물가 구조가 고착화, 디플레이션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특히 4일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한 강연에서 디플레 우려를 공식화한 점도 눈여겨 볼 대목이다..

한국의 물가상승률이 경제 고도화를 훨씬 앞서 이룩하고 인구고령화가 더 심각한 일본보다도 낮다는 것은

그만큼 최근 한국의 경제 활력이 크게 떨어졌다는 점을 입증,더더욱 심각한 형국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한국의 물가상승률은 주요 7개국(G7) 평균치에도 못 미쳤다.

G7의 지난해 평균 물가상승률은 1.6%로 한국보다 0.3%p 높은데 G7 평균보다 한국의 물가상승률이 낮아진 것은 8년만이다.

지난해 일본(2.7%), 캐나다(1.9%), 미국(1.6%), 영국(1.5%) 등 4개국은 한국보다 높고, 독일(0.9%), 프랑스(0.9%), 이탈리아(0.2%) 3개국은 낮았다.

OECD 34개국 평균도 1.7%로 한국보다 높았다.

지난해 연말부터는 월별 물가상승률이 3개월 연속 0%대를 기록했고 지난달 물가는 담뱃값 인상 효과를 제외하면 마이너스인 상황이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한국경제TV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