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89.50

  • 27.40
  • 1.03%
코스닥

850.75

  • 4.91
  • 0.58%
1/4

홈퍼니싱, 유통업계 '먹거리' 부상

관련종목

2024-06-05 21:20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홈퍼니싱, 유통업계 `먹거리` 부상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앵커>
    가구와 인테리어 용품을 판매하는 `홈퍼니싱 산업`이 부상하고 있습니다.

    저성장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유통업계도 홈퍼니싱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선정했습니다.

    이문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해 경기도 광명에 문을 연 세계 1위 가구기업 이케아.

    무늬는 가구 전문점이지만, 이케아 매출의 60% 이상은 인테리어와 생활용품에서 나옵니다.

    1-2인 가구의 증가와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주거 환경에 관심을 쏟는 소비층이 두터워지면서, 가구와 인테리어·생활용품을 판매하는 국내 홈퍼니싱 시장은 최근 30% 가까이 급성장했습니다.


    롯데백화점은 축구장 크기의 면적(6,300㎡)에 154개 브랜드를 넣은 ‘홈퍼니싱’관을 오픈했습니다.

    신세계백화점도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생활용품 편집숍인 `피숀`과 수입 브랜드 매장을 강화하고, 현대백화점의 경우, 홈퍼니싱관의 리뉴얼을 통해 관련 제품의 매출 향상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백화점들은 소비침체로 인한 역성장 속에서도 홈퍼니싱 관련 매출은 두 자릿수 성장률을 달성했습니다.

    대형마트들도 홈퍼니싱 매장 강화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이마트신세계인터내셔날의 홈퍼니싱 매장인 ‘자주(JAJU)를 전국 130개 매장에 포진시켰고, 자체 브랜드인 `러빙홈`도 운영중입니다.

    홈플러스도 생활용품 라인을 강화하기 위해 한샘과의 입점 협상을 진행중입니다.

    경기 침체로 수년째 마이너스 성장을 하고 있는 유통업계.

    새로운 먹거리로 떠오른 홈퍼니싱 산업을 통해 탈출구를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한국경제TV 이문현입니다.
    한국경제TV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