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을 앞두고 증권사와 투자자들이 투자전략을 짜기에 부산하다. 하지만 금융위기가 발생한 후 6년째를 맞고 있는 상황에서 투자환경 앞날을 예측하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특히 위기 이전보다 영향력이 커진 심리요인과 네트워킹 효과로 상황이 순식간에 바뀌는 ‘절벽 효과(cliff effect)` 때문에 앞날을 내다보기가 더 힘들어 졌다.
역설적으로 미래예측이 힘들면 힘들수록 각 분야에서 차별화(nifty fifty) 현상은 더욱 심해지고 있다. 이런 때일수록 증권사와 투자자들이 금융위기 이후 나타나는 차별적인 경쟁우위 요소를 잘 포착해 대응하면 이전보다 빨리 부(富)를 축적우량기업에 올라서고 그 지위를 비교적 오랫동안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보는 시각에 따라 달리 평가할 수 있지만 금융위기 이후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대내외 투자환경은 그 고착정도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되고 있다. 하나는 ‘글로벌 스탠다드형’으로 서브 프라임 모기지 사태, 유럽재정위기 등과 관계없이 정착돼 지속되는 글로벌 투자환경이다.
다른 하나는 양대 위기를 거치면서 새로운 규범 하에 새로운 세계경제질서로 부각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불안정한 ‘젤리형’ 투자환경이다. 이밖에 기존 질서의 반작용으로 향후 세계경제질서와 각국 경제에 위협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디스토피아(dystopia)`1 투자환경도 빠르게 정착되고 있다.
금융위기 이후 형성되는 이같은 층화적(層化的) 투자환경에서 증권사와 투자자들이 투자전략 수립시 ‘메가트랜드’와 ‘도전과제’를 읽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필요성을 감안해 미국의 글로벌 미래연구 싱크탱크인 밀레니엄 프로젝트2에서는 세계 각지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금융위기 이후 향후 20년간 글로벌 경제경영 시스템을 변화시킬 주요동인 35가지를 조사하고 그 중요도를 평가·발표했다.
동 조사결과를 보면 △경제시스템 내 윤리문제의 부각 △삶의 질 등을 포괄하는 새로운 GNP/GDP 개념의 등장 △정보 등과 같이 기존의 경제 개념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새로운 상품을 위한 경제이론 △공기?해양 등 글로벌 공공재를 보존하기 위한 국가 간 노력 등을 핵심적인 변화로 주목된다.
미래에 대한 예측이 어려울수록 인간의 본성을 반영하는 추세를 잘 읽어 앞날을 내다보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모든 경제행위는 사람이 만드는 것이고 사람의 속성은 그때그때 변할 수 있어도 길게 보면 쉽게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식과 기본, 균형이 투자환경이 불확실할수록 지켜야 할 3대 덕목이다.
금융위기 이후 새롭게 형성되는 투자환경에 얼마나 잘 대응하느냐에 따라 증권사와 투자자의 미래가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무엇보다 각국과 금융사들은 기후변화?자원고갈?테러리즘 등 다각적인 중장기 위협 요인에 직면해 있는 만큼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이 요구되는 상황에 몰리고 있다. 한국 증권사 입장에서는 이들 경향과 밀접해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확대와 질적 성장 추구 등을 위한 새로운 대응전략을 마련해 나가야 한다.
특히 각국이 금융위기 직후 차세대 성장산업으로 ‘그린 성장’을 추진해 경제시스템을 ‘친환경적’으로 전환하고 있는 만큼 한국 증권사들도 이에 보조를 맞출 필요가 있다. 또한 세계 각국은 윤리경영에 대한 관심을 확산시키고 각종 기부 등 사회적인 활동을 강화하며 부정부패 척결 등을 통해 사회 전반의 투명성 제고 등을 강화해 나가는 점에도 한국 증권사와 투자자 입장에서 주목해야 한다.
금융위기가 어느 정도 마무리되는 상황에서 증권사와 투자자들은 ‘BOP 비즈니스’와 함께 ‘알파 라이징 업종’ 그리고 ‘뉴 프런티어 마켓’에 대한 관심을 높여 나가야 할 시점이다. 더 빠르게 확산될 ‘디스토피아’ 현상에 맞춰 새로운 산업으로 떠오를 이른바 ‘루디멘터리 사업(rudimentary business)`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미래의 잠재적 위협요인에 대응하고 기회요인을 발굴하는 등 선제적인 미래 준비를 위해서는 미래예측 역량과 대비능력도 한국 증권사 차원에서도 확보해 나가야 한다. 장기적인 시각에 입각한 경영방침이 결정될 수 있도록 미래예측기술을 적극 활용하고 미래연구에 대한 투자도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
향후 세계경제는 자원부족으로 인한 희소성의 시대에 접어들 것으로 예측되고 있는 만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체자원과 기술을 개발해 놓아야 한다. 미래 성장 동력 발굴을 통한 한국 증권사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신기술에 대한 지속적 투자와 관심을 제고해 나가야 한다.
금융위기 이후 새롭게 대두되는 지구촌 도전과제들은 한국 금융사 차원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들이 많은 만큼 이를 위한 정부와 사회 각 단체 그리고 국제적인 공조체제를 구축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다. 각국은 금융위기 이후 미래이슈를 다루기 위해 UN, G-20 등 다자협력체를 통한 국제 사회의 노력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는바 한국 금융사는 국제적인 논의과정에 초기단계부터 적극 참여함으로써 기회를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
이밖에 금융위기 이후 형성되는 층화적(層化的) 투자환경에서 한국 증권사와 투자자들이 미래사업과 투자전략 구상시 ‘메가트랜드’와 ‘도전과제’를 읽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뉴 노멀 혹은 뉴 앱노멀’ 시대에 형성되는 ‘젤리(jelly)형’ 질서와 ‘디스토피아’ 현상이 빠르게 확산되는 상황에서는 모든 경제활동에 있어서 가장 경계해야 할 것은 쏠림현상이다.
언제든지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 만큼 과욕을 부린다면 ‘하이먼-민스크 모델’에 따라 어느 날 갑자기 큰 화(禍)를 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 종전의 인식대로라면 망하지 않을 것으로 봤던 국내 대기업들이 지난 2년 동안 망한 것이 단적인 예다. 이럴 때일수록 기본에 충실하고 균형감을 유지하는 것이 최고의 덕목이다.
철저한 위험관리와 함께 ‘젤리형’ 질서가 위기를 거치면서 새로운 ‘글로벌 스탠다드형’ 질서로 진전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젤리형’ 질서에서 떠오르고 있는 유망산업과 시장에 얼마나 빨리 선점하느냐는 증권사와 투자자의 생존 뿐만 아니라 일류 증권사와 투자자가 되느냐에 관건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글. 한상춘 <a href=http://sise.wownet.co.kr/search/main/main.asp?mseq=419&searchStr=039340 target=_blank>한국경제TV 해설위원 겸 한국경제신문 객원논설위원(schan@hankyung.com)>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