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56.56

  • 1.86
  • 0.07%
코스닥

863.50

  • 1.31
  • 0.15%
1/2

[궁금궁금]미세먼지 행동요령, 예보에만 맞추면 될까?

관련종목

2024-06-17 10:10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궁금궁금]미세먼지 행동요령, 예보에만 맞추면 될까?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선선한 날씨와 함께 미세먼지 예보도 `양호`, `깨끗함`으로 나오는 날이 많다. 서울의 하늘도 가을답게 맑고 푸르면 사람들은 마스크 쓸 생각을 전혀 하지 않는다.


    그러나 과연 예보만 믿으면 되는 것일까? 분명 예보는 `양호`했지만 뭔지 모르게 가슴이 답답하고 기침이 많이 나오는 이들도 있을 것이다. 생활 공간 및 주로 체류하는 곳이 예보와는 다른 미세먼지 수치를 보이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미세먼지 수치는 다양한 요인으로 높아지고, 또 낮아진다. 가장 쉽게 생각할 수 있는 요인으로는 집 안에 `헤비 스모커`가 있어 담배를 지속적으로 피운다든가, 화석 연료를 집안에서 쓴다든가 하는 것들이 있다. 청소를 게을리해 집안 곳곳에 말 그대로 먼지가 겹겹이 쌓여 있어도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고, 대로변에 집이 바로 맞닿아 있으면 자동차 배기 가스의 영향도 받는다.

    거대한 서울이라는 도시 내에서도 수많은 변수가 있기 때문에, `양호`라는 예보만을 무작정 믿고 안심할 수는 없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을 아는 사람들은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기를 적극적으로 이용한다. 최근에는 폐에 치명적인 초미세먼지의 수치 및 발암물질인 휘발성 유기화합물 수치를 실시간으로 체크해 주는 Bramc 가정용 미세먼지 측정기 등이 `호흡기 민감족`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같은 공간이라도 하루 중의 시간에 따라 미세먼지 수치가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청소 상태나 대기 오염 요인에 따라서 방마다 미세먼지 수치가 달라지기도 한다. 일률적인 예보가 아닌 `살아있는 측정결과`인 셈이다.


    뿐만 아니라 `새집 증후군`의 원인이 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위험도 또한 동시에 체크할 수 있다. 포름알데히드, 라돈 등 발암물질인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는 최근 어느 가정에서나 경계 대상이므로, 미세먼지와 함께 실시간으로 체크해 대비하는 것이 좋다고 Bramc 관계자는 전했다. (사진=한경DB)

    한국경제TV 김지원 기자
    news@bluenews.co.kr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