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26.81

  • 16.39
  • 0.63%
코스닥

773.65

  • 5.17
  • 0.67%
1/4

'고려 물시계 존재 규명' 조선시대 자격루보다 앞선 물시계 있었다? '관심'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고려 물시계 존재 규명` 소식이 화제다,

지난 27일 전남대학교는 조선 세종 시기 자격궁루(自擊宮漏)가 만들어지기 이전까지 사용됐던 고려 물시계의 존재를 규명한 사학과 박사과정 서금석 씨의 논문을 공개했다.

서 씨는 논문에서 "고려사 연구 도중 당시 쓰였던 물시계를 언급한 자료를 확인해 고려시대 물시계 이름을 밝혀냈다"라고 밝혔다.

서 씨는 "고려시대 물시계 이름은 루상수(漏上水)였으며 별칭으로 궁루(宮漏), 금루(禁漏), 은루(銀漏) 등으로도 불렸다"고 설명했다.


고려 물시계는 당시 왕실 등에서 비교적 폭넓게 사용됐는데 지금은 그 형태나 이름에 관해 남아 있는 사료가 거의 없다.

이 논문은 고려 물시계가 시간뿐 아니라 사회의 통치 수단으로 활용됐다는 사실을 규명한 것으로 최근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지인 `한국사연구`에 실렸다.

조선시대보다 훨씬 앞선 고려시대에 물시계가 존재했다는 논문에 학계는 물론 국민들 역시 관심을 보이고 있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한국경제TV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