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제윤 금융위원장은 하나은행과 외환은행 통합 당시 5년간 독립 경영과 관련한 2·17 합의와 관련해 노사정 합의가 아닌 노사합의로 봐야 한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당시 합의에 배석했던 김석동 전 금융위원장의 경우는 단순 입회를 한 것 이기 때문에 하나·외환은행 통합에 노사 합의가 전제가 돼야 한다는 기존의 입장을 견지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신제윤 위원장은 15일 국회 정무위 국감에서 하나·외환은행 통합과 관련해 당국이 합의에 참석한 만큼 중재 등 역할에 나서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이같이 답했습니다.
신 위원장은 합의 당시 금융위원장이 합의서에 서명을 했고 노사정 합의로 돼 있는 데 어떻게 보느냐는 민병두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의 질의에 “노사정 합의라기보다 노사합의의 성격이 강하다"고 밝혔습니다.
최근 하나은행과 외환은행 조기통합과 관련해 외환은행 노조가 금융위의 중재를 요청했지만 금융위가 노사합의가 전제돼야 한다며 사실성 거부한 것과 관련해 기존의 입방에 변화가 없음을 재 확인한 셈입니다.
신 위원장은 이와 관련해 “(노사정 합의냐 노사합의냐 등) 성격에 대해 논의 하고 있지만 노사정보다는 노사합의가 강하다는 것이 전문적인 판단"이라며 ”이에 대해 고용노동부와 협의를 한 적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고용노동부가 노사정이 아니라고 했냐는 민병두 의원의 추궁에 신제윤 위원장은 “고용부가 자문을 해줬고 저 역시 노사합의 성격이 강하다고 했다”고 말했습니다.
최근 하나·외환은행 조기 통합 논의의 경우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이 최근 중재를 제안했지만 외환은행 노조가 거절하면서 교착상태에 빠져 있는 상황입니다.
정무위는 증인으로 출석하는 김승유 전 하나금융 회장은 물론 신제윤 위원장에게 2.17 합의의 정당성과 이행의무 등에 대해 집중 질의하는 한편 당국의 명확한 입장을 추궁할 예정이어서 정무위 내내 하나·외환은행 통합 이슈가 쟁점이 될 전망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