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소개구리가 먹이사슬의 상위에 있는 생물까지 잡아먹는 등 습지 생태계 교란 생물임이 거듭 확인됐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올해 4월부터 8월까지 경상남도 창녕 가항 습지에 서식하는 황소개구리의 먹이원을 분석,
모두 61개 종류의 먹이원을 확인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9일 밝혔다.
분석 결과 포획한 황소개구리 위(胃)에서 총 632개체가 발견됐는데 황소개구리는 주로 곤충류를 잡아먹는 것으로 확인됐다.
먹이원 비율은 곤충류 65.3%, 공벌레류 13.8%, 달팽이류 7.9%, 개구리류 7.1%, 거미류 4.3%, 어류 0.6%,
지렁이류 0.3%, 포유류 0.3%, 지네류 0.2%, 조류 0.2% 순이었다.
특히 황소개구리는 장수말벌, 등검은말벌 등 독침을 가진 독충류와 두꺼비의 올챙이와 같은 토종 양서류뿐만 아니라
먹이사슬 상위에 있는 박새 등 조류와 등줄쥐, 땃쥐 등 포유류도 마구 잡아먹어 습지 먹이사슬을 교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황소개구리는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며 주로 강, 하천, 저수지, 농수로, 배수로에 서식하며
4월 동면에서 깨어나 5월부터 7월 사이에 번식한다.
암컷은 한 배에 6천∼4만 개의 알을 산란하며, 부화한 올챙이는 2∼3년 정도 물속에서 성장한 후 아성체로 변태한다.
원 서식지는 미국으로 우리나라에는 1970년대에 들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