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설계수명을 다한 원전의 계속운전 여부가 사회적 이슈로 떠올랐습니다.
우리와 원전설계 방식이 같은 미국은 이 문제를 어떻게 풀고 있을까요?
권영훈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미국 버지니아 중부에 위치한 노스아나 원전.
원전 2기가 1978년과 1980년 발전을 시작해 설계수명 40년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최근 20년간 계속운전을 승인받아 2038년과 2040년까지 운영할 수 있습니다.
원전 운영회사는 매년 다양한 채널로 지역주민들을 만나 소통한 결과라고 말합니다.
<인터뷰> Page A. Kemp / 노스아나원전 인허가 총책임자
"(계속운전)허가에 대해 지역주민과 논의했다. 안전성, 운영방향에 대해 주민들에게 지속적으로 알리고 있다. 반대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특히 해당 기업은 많은 법인세를 내는데 모두 지역주민들을 위해 쓰여 노스아나 원전은 지역경제의 한축입니다.
<기자 브릿지>
"노스아나 원전은 지역사회와 끊임없는 소통을 통해 앞으로 설계수명이 4~5년이나 남아 있지만 이미 계속운전을 허가받았습니다.
계속운전을 허가받고도 폐로 주장에 힘이 실리는 우리 원전시장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습니다"
노스아나 원전과 마찬가지로 1978년 발전을 시작한 고리1호기.
2007년 설계수명 30년이 끝나 10년간 계속운전을 허가받았습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내년 6월을 목표로 2차 수명연장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수명을 다한 월성1호기도 계속운전 허가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런데 두 원전의 경제성을 놓고 논란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국회예산처는 월성1호기가 계속운전할 경우 약 2천억원의 순편익이 발생한다고 분석했습니다.
반면 시민단체들은 원전사고와 같은 리스크를 반영할 경우 적자폭이 1조원 이상일 것이라고 지적합니다.
그러면서 고리1호기와 월성1호기 폐로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물론 안전성은 몇번을 강조해도 부족합니다.
다만 국내 전력의 30%를 차지하는 원전을 멈춘 이후의 상황도 고려해봐야 합니다.
<인터뷰> 정수성 / 새누리당 의원
"국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우선이다. 원전을 멈췄을 때 전기 생산이 안되니까 전기요금이 올라갈텐데 국민들이 어떻게 받아들이겠느냐"
계속운전 여부는 산업통상자원부와 원자력안전위원회의 몫입니다.
이들이 여론 추이를 살피고 있는 동안 소모적 논쟁은 거듭되고 국민 불안만 키우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권영훈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