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직하고 올곧다. 영화를 대하는 영화인 하정우 (37·본명 김성훈)의 태도는 늘 한결같다. 배우로서의 그의 길은 곧 하정우가 연기로서 증명한 성실함의 산물이다. 그는 늘 변함없는 모습으로 관객들에게 무언가를 증명했다. 그리고 올 하반기 최고의 기대작으로 손꼽히는 ‘군도’의 대답 또한 하정우가 될 것이다. 꾀죄죄한 모습으로 뛰고 구르는 스크린 속 하정우의 모습은 그가 왜 믿고 보는 배우가 될 수밖에 없는가, 또 한 번 증명한다.
◆ 하정우 “‘군도’ 보고 뜨악한 관객들 많았을 것”하정우는 ‘군도’에서 백정 출신 돌무치로서의 삶과 불의의 사고 이후 새롭게 부여받은 군도무리의 도치로서의 삶, 두 가지를 그려낸다. 본질은 같지만 삶의 방식과 삶의 목표가 달라졌다. 하정우는 이 닮은 듯 미묘하게 다른 두 인물을 맡아 연기해야했다. 이에 “캐릭터가 유머를 잃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내 캐릭터가 희화화돼 그려지는 것에 뜨악해하는 관객들이 있는 걸로 안다. 그러나 나는 철저하게 오락영화를 만들고 싶다는 윤종빈 감독의 생각에 일조를 했고, 돌무치가 당초 가진 매력을 잃지 말아야겠다고 생각했다”고 전했다.
하정우표 돌무치의 무기는 천진함과 귀여움이다. 극중 “열여덟”이라고 천연덕스럽게 내뱉는 하정우는 그 자체로 웃음 포인트가 된다. 하정우는 돌무치가 가진 무식하리만치 순수한 모습을 활용해 담담해서 더 웃긴 개그를 선보였다. “윤종빈 감독의 버릇을 포착해 턱을 움직이는 버릇을 녹였다. 그밖에도 머리띠나 의상, 벨트 등 외적인 부분에 대해 많이 상의를 했던 것 같다”
하정우는 “‘군도’를 통해서 안고가야 할 것들이 많았다”고 전했다. 그는 “사극이다 보니까 흉터 분장, 액션, 전라도 사투리, 말 타는 장면 등 여러 가지 핸디캡이 있었다. 그런 것들을 감안하고 연기해야 하니 불편한 지점이 있더라. 한 장면을 찍기 위해 3시간 동안 특수 분장을 하고 오지를 찾아 촬영을 했기 때문에 불편했다”며 여러 가지 촬영 고충을 털어놓았으나 “윤종빈 감독은 내게 늘 흥미로운 시나리오를 안겨주기 때문에 이번에도 따랐다”며 영화에 대한 애착과 윤종빈 감독에 대한 신뢰를 드러내기도 했다.
◆ 하정우, 배우의 정석그는 배우의 정석을 밟아왔다. 대학 연극영화과를 졸업해 이를 발판으로 작은 배역부터 차근차근 필모그래피를 쌓아왔다. 이에 대해 하정우는 “굉장히 다행스럽고 오늘 날에 감사한 마음이다. 의도를 하더라도 이렇게 FM대로 나올 수는 없었을 거다. 물론 처음에는 굉장히 막막했다. 그러나 오디션 낙방이 계속됐다. 결코 쉽지 않았고 쓴맛을 봤다. 앞으로는 더 어마어마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당시를 회상했다.
“포기하지 않고 열심히 하려고 했다. 그 이후에 어떤 기회를 가지고 작품을 만났을 땐 정석대로 가자는 생각이었다. ‘프라하의 연인’ 드라마 이후 러브콜이 있었다. 그때 제의를 받았으면 쉽게 인지도를 얻었겠지만 나는 원래대로 내꿈인 영화배우가 돼야겠다 싶더라. 그때 개봉도 불투명했던 김기덕 감독과의 작업을 선택했다. 그것이 더 가치 있는 일이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 모든 것은 경험이 우선순위였다. 어떻게 철저하게 연기를 잘 할까, 영화를 알아갈 수 있을까에 대한 기본적인 생각을 버리지 않았고 조금은 성공적 삶에 가까워지지 않았나 싶더라”
배우의 정석을 밟아온 만큼 한치의 어긋남도 없는 성실한 대답이었다. 조금은 불량스러워 보이고 자유로워 보이는 하정우는 그 누구보다 자신을 채찍질 하는 노력형 배우였다. 하정우는 “대부분 나를 불량스러운 삶을 산 사람으로 보는데, 내가 알지 못하는 것들에 대해서는 상상을 많이 한다. 호기심일 수도 있지만, 이러한 삶을 추구하는 측면도 있기 때문에 ‘추격자’ 같은 비뚤어진 역할도 했던 것 같다. 이와 같은 연기에서 ‘어떻게 하면 사람들을 놀랍고 섬뜩하게 해줄까’ 하는 마음도 있었던 것 같다”고 말하며 웃었다.
◆ 배우 하정우, 감독 하정우 그리고 영화인 하정우하정우는 관찰 속에서 영화적인 감성을 얻는다고 전했다. 그는 “캐릭터라는 것도 결국 한 사람이지 않나. 내가 세상을 바라보고 받아들이는 것만큼 시나리오에 있는 캐릭터를 볼 수 있을 것 같다. 영화도 마찬가지다. 관찰, 다큐멘터리 등 많은 장르의 영화가 있는데 이를 좋은 영화 나쁜 영화로 나눌 수 있을까. 점점 이해할 수 있는 것들을 넓혀야겠다는 생각이다. 이는 내가 생각을 해야 한다. 내가 어떻게 살아가는지, 또 어떤 태도와 시선을 가지고 살아가는지가 무서우리만치 영화에 반영되더라”고 전했다.
그림 또한 마찬가지였다. 하정우는 그림을 “연기를 잘 하기 위해 선택한 것”이라고 전했다. “그림을 그리고 연출을 하는 것은 결국 연기를 잘하기 위함이고, 내가 다 표현하지 못한 것들을 다른 방식으로 풀어나가는 거다. 이 세 가지가 유기적 관계를 맺고 있다. 내 유명세 때문에 그림들이 좀 더 세상에 일찍 나온 것 일뿐, 그림 또한 영화처럼 내 일상의 한 부분이다”라고 말했다.
하정우의 일상은 영화인이라는 타이틀로부터 비롯된 것들로 점철돼 있다. 하정우는 “덕분에 내 사생활은 엉망”이라고 웃으며 말했다. 최근 ‘허삼관 매혈기’ 연출에 한창인 하정우는 “과연 영화는 나 혼자 만드는 것인가, 좋은 감독은 뭘까 하는 생각이 최근에는 든다. 어쩌면 배우와 스태프에게 자리를 비워주는 것이 좋은 감독일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 항상 하루하루 모든 사람이 즐겁고 최선을 다할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다. 그 생각으로 현장에 나가니 하루하루가 너무 감사하더라”고 소감을 전했다.
그야말로 영화로 시작해 영화로 끝이 났다. 그에게 최종 목표를 묻자 하정우는 그의 외모처럼 강단 있는 목소리로 “영화인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영화를 찍든 연기를 하든 내 목표는 끝까지 영화를 하는 영화인이다”라고 거듭 강조했다. 영화에 대한 사랑과 진정성으로 둘러싸인 하정우를 믿고 따르지 아니할 이유는 앞으로도 없을 것이다.
[사진= 민은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