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업계의 기업 실적 ``뻥튀기` 추정 경향이 줄기는 커녕 오히려 더 심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따라 전망치에 기대를 품었다가 실제 발표치에 실망하는 투자자들이 늘어나면서
증권사 실적 전망에 대한 불신감이 이들로 하여금 시장을 떠나게 하는 심대한 요인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사진=63빌딩에서 바라본 여의도 증권가 모습>
한국투자증권이 지난 2011년부터 3년간 코스피200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 8일 밝힌 결과에 따르면
실제 발표된 순이익에 비해 1년전 실적 전망치(컨센서스)는 평균 32.9% 과대 추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더 심각한 것은 실적을 과대 추정하는 이런 경향이 2011년 이후 크게 심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2011년에는 실제 순이익 81조원, 전망치 98조원으로 과대추정률이 20.3%를 나타냈지만,
2012년에는 33.8%(실제 실적 77조·전망치 103조), 지난해에는 무려 44.7%(실제 실적 74조·전망치 107조)를 기록했다.
2005~2010년(금융위기 변수 있었던 2008년과 2009년 제외) 평균 과대추정률이 7.3%였던 것과 비교해보면
이 같은 현상이 얼마나 두드러졌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와관련, 한국투자증권의 한 고위 관계자는 "과대 추정은 주로 경기순환 업종에서 나타난다"며
"금융위기 이후 세계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많이 반영됐지만 경기 회복이 지연된 것이
실적 과대 추정의 주요 원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시장에 대한 장밋빛 전망은 올해도 계속되고 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코스피 상장사 가운데 3개 이상 증권사가 분석한 184개 종목 중
올해 상반기 말일(6월 30일) 종가가 6개월 전(1월 2일) 목표주가 전망치에 도달한 종목은 겨우 31개뿐이었다.
증권업계 안팎에서는 증시 전망이 밝아야 주식 거래량과 증권사 수익률이 늘어나는 구조 때문에
태생적으로 낙관적인 시각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는 점, 실적 하향 요인이 생겨도 기업과의 관계 등 때문에
소신껏 밝히지 못하는 점 등도 이유로 꼽고 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