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09.95

  • 18.90
  • 0.73%
코스닥

765.89

  • 9.57
  • 1.27%
1/4

통제불능 이통시장, 문제는 비싼 통신요금

관련종목

2025-02-17 12:06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앵커>
    정부가 영업정지 강수를 뒀지만 이통사들의 변칙영업은 멈출 줄 모릅니다.

    혼탁의 이통시장. 근본적인 문제와 대책에 대해 박상률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기자>

    100만원 대 보조금,
    현금으로 돌려주는 페이백,
    중고폰 매입으로 위장하기.

    이통사들의 불법 보조금 지급은 치밀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현장녹취> 불법 페이백 지급 사업자
    "(페이백은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나) 우리는 일체 그런 걸 설명할 수 없다. 녹화와 녹취가 진행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이통사들은 영업정지로 잃었던 고객을 대부분 되찾았고 과태료는 약발이 안먹힌지 오랩니다.

    상황이 어쩌다 이렇게까지 됐을까?

    보조금의 가장 근본적인 원인으로는 비싼 통신료가 꼽힙니다.

    <인터뷰> 안진걸 참여연대 사무처장
    "통신료가 비싸다 보니 보조금이든 뭐든 일단 고객부터 잡고 보자는 식이다. 혼탁한 이통시장의 원인은 통신료다"

    고객 한 명에게서 받는 통신요금이 워낙 많다보니 불법 보조금을 줘서라도 일단 가입자를 늘리는 게 이익인 겁니다 .

    최근 이통사들은 앞다퉈 `무제한요금제` 라며 저렴한 요금혜택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역시도 매월 7~8만원대에 이르는 통신료를 부담해야 합니다.

    <스탠딩> 박상률 기자 srpark@wowtv.co.kr
    "통계청에 따르면 한 달 평균 가계통신비가 15만 원이 넘어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요금을 낮추는데는 침묵하는 이통사들.
    업체는 세 곳이지만 고객들은 사실상 선택권에 제약을 받고 있습니다."

    KMI(한국모바일인터넷)는 이런 소비자 선택 제한 시장에서 제4 이동통신사업자가 되기 위한 6번째 도전에 나섰습니다.

    <인터뷰> 공종렬 KMI대표
    "프랑스의 경우 3개 통신사업자가 시장을 나눴지만 2012년 4번째 사업자의 등장으로 가격 경쟁력이 본격화 됐다. 우리는 이 정도의 통신원가가 적정하다고 판단해 저렴한 요금이 가능하다고 보는 것"

    KMI는 월 3만원 대에 음성통화는 물론이고 데이터이용까지 무제한 제공한다는 계획입니다.

    아직 미래부의 적격심사와 본심사가 남아있긴 하지만 혼탁한 통신시장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4번째 이통사업자의 탄생은 이르면 이번 달이나 늦어도 다음 달 중으로 결정날 예정입니다.

    한국경제TV 박상률입니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한국경제TV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