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을 닫는 산부인과 의원 수가 개업하는 의원의 두 배를 웃돌면서
농어촌은 말할 것도 없고 도시에서도 산부인과 간판 찾기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극심한 저출산과 낮은 수가,의료사고에 따른 분쟁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26일 의료정책연구소의 `요양기관 개·폐업 현황으로 본 개원가 현주소`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 한 해 전국에서 폐업한 의원은 모두 1,536개로 하루 평균 4.2개 꼴로 집계됐다.
개원의 수(1,831개)가 폐업의보다는 다소 많았지만, 개업 대비 폐업 비율(폐업률)이 83.9%로
2011년(81.9%)과 2012년(89.2%)에 이어 3년 연속 80%를 웃돌았다.
진료 과목별로는 특히 산부인과의 폐업률이 223.3%로 가장 높았다.
1개의 산부인과 의원이 개업할 때 동시에 2.3개가 문을 닫은 셈으로, 1년전(173%)과 비교해도 약 50%P나 뛴 것.
외과(136.8%) 역시 폐업이 개업보다 많았다.
이어 신경외과(95.2%)·일반의(92.8%)·소아청소년과(84.1%) 등도 전체 의원 평균 폐업률(83.9%)보다 높았다.
반면 내과(50.3%)·재활의학과(52.6%)·정신과(56.3%)·가정의학과(58.7%) 등은 1개 의원이 문을 닫아도
약 2개가 새로 생길 정도로 비교적 개업이 활발했다.
폐업률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상도와 충청도 지역의 `불황`이 두드러졌다.
경북(116%)·충북(110.5%)·경남(101.2%)에서는 작년 한해 폐업이 개업을 앞질러 전체 의원 수가 줄었다.
대전(100%)·전북(95.4%)·전남(91.7%)·충남(90.0%)의 폐업률도 높았다.
서울(86.0%)·울산(84.6%)·인천(82.%)·대구(77.8%)·부산(75.7%) 등 대도시의 분위기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의료정책연구소의 한 고위 연구위원은 "해마다 3천여명의 의사가 새로 배출되고,
이 중 일부가 개원하는 상황에서도 폐업률이 계속 80%를 넘는 것은 의료서비스 공급 시장이 `포화상태`라는 얘기"라며
"작년 의원급의 총 환자 내원일수가 1년전보다 오히려 2% 줄어든 것도 같은 맥락"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현재 의원의 44.9%가 하루 평균 50명이하의 환자를 진료한다는 의료정책연구소 자체 설문조사 결과도 소개했다.
의원 경영에 필요한 최소 환자 수가 일평균 40~50명선인 점을 고려하면, 현재 의원의 반 정도는 한계 상황에 이르렀다는 설명이다.
문제점으로 지적된 산부인과와 관련, "높은 폐업률이 이어진 결과 지난해 기준 전국 46개 시·군에서
분만 가능한 산부인과가 아예 없어졌다"며 "포괄수가제 적용에 따른 비급여 수입 감소와 의료사고 관련 소송 증가 등의
영향으로 추정되며, 이미 산부인과 진료과목의 존폐 자체가 우려되는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