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04.67

  • 1.61
  • 0.06%
코스닥

694.39

  • 2.39
  • 0.35%
1/3

"스펙 초월 채용, 여성 고용률 끌어올리지 못해"

관련종목

2024-11-29 04:40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학력과 영어점수 등 이른바 `스펙`이 아닌 능력위주의 채용정책만으로는 여성 고용률을 높일 수 없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여성 고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출산과 육아기 여성을 고용한 기업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별도의 보완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 원장 권태신, www.keri.org)은 23일 `고용취약계층의 경제활동참가율 추이 분석과 정책적 함의`(이진영 부연구위원) 보고서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이번 보고서는 지난 20년간 한국의 경제활동참가율(이하 경활율)이 약 61% 정도로 정체되고 있는 것은 20대 청년층의 취업준비 장기화와 학력과잉, 출산·육아기 여성의 경력단절 등 소위 ‘고용취약계층’의 고용취약 심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지적했다.
    한경연은 경제활동인구조사(1986년~2012년)를 이용해 1936년생부터 1988년생의 경활율 추이와 학력과 혼인상태 추이간의 관계를 분석했다.
    먼저 연령대별 경활율 추이를 분석한 결과 20대 남성의 경우 경활율은 뚜렷한 감소세를 나타난 반면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 여성의 경활율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다른 연령대 남녀의 경활율에 비해 해당 연령의 여성 경활율은 여전히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보고서는 이처럼 경활율 추이가 변화된 주요 요인으로 남성의 경우 ‘학력’, 여성의 경우 ‘혼인상태’를 꼽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1981년생 남성의 20대 후반 경활율은 1961년생 남성에 비해 13%p가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약 2/3가 대학과 대학원 진학 등 학업 때문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반대로 여성경활율은 28%p가 증가했고 이 중 약 3/4은 혼인연령이 높아진 때문이었다.
    이진영 부연구위원은 “‘스펙초월 채용확대’와 같이 학력구성을 변화시키는 정책은 여성보다 학력요인이 경활율 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큰 남성에게 더욱 효과적”이라며 “여성청년층의 경활율 제고를 위한 정책 보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경력단절 여성이 정부정책에 따라 구직활동을 시작하는 것에만 그치지 않고 취업에 성공하도록 하려면 고용 기업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추가적인 지원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부연구위원은 “또 다른 고용취약계층인 장년층의 경우 현행정책이 정년연장 지원과 단기적 취업인턴제 등 일부분에 국한돼 있다”고 우려하며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장년층을 위한 다양한 경활율 제고정책이 보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한국경제TV    박준식  기자
     parkjs@wowtv.co.kr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