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시중 은행에 이어 이번에는 보험 회사에서도 수 십억 원대 허위 대출 보증 사건이 발생하자 금융회사 영업점에 대한 불시 암행검사를 주 업무로 하는 ‘전담조직’ 구성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박병연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지난 3월 ‘금융사고 근절을 위한 내부통제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었던 금융당국은 최근 잇달아 터지고 있는 금융사고에 넋이 나갔습니다.
사고 금융기관 현장조사와 사고 원인 분석 등에 최소 두 달 이상이 걸리는 만큼 빨라야 오는 6월에나 결과물을 내놓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동안 금융사고 안전지대로 여겨졌던 보험 회사에사도 사고가 터진 만큼, 발표 시기는 하반기로 미뤄질 가능성이 큽니다.
은행권 내부 직원들의 비리로 인한 금융사고와 유사한 사건들이 전 금융권에 만연해 있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금감원은 사고가 발생한 한화생명에 대한 조사를 마친 뒤, 보험업권 전반에 대한 조사가 필요한 지 여부를 검토한다는 계획입니다.
<인터뷰> 금감원 고위 관계자
"우리가 항상 부문검사나 종합검사를 다니니까. 그 때 특히 이런 부분(금융사고 발생 여부)을 중점적 검사사항으로 잡아서 들여다 봐야죠."
그런데 문제는 감독당국의 대응 방식이 언제나 한결같다는 것입니다.
문제가 터지면 관련 인력을 대거 투입해 철저히 조사하는 척 하다가 시간이 지나 다시 잠잠해지면 적당히 마무리하는 사례가 비일비재합니다.
또 금융회사에 대한 정기 검사가 주로 본점에 대해서만 이뤄지다보니 영업점에서 자주 발생하는 각종 금융사고에 대해서는 미처 손을 쓰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에 긍융권 일각에서는 새로 만들어지는 기획검사국내에 ‘감독정보분석실’ 같은 전 업권을 망라하는 상시 감시시스템을 설치하는 게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은행과 증권, 보험, 카드 등 업권별로 전담 인력을 선발해 기존 조직과는 별도로 금융회사 본점은 물론 영업점까지 철저히 조사하는 전담기구가 필요하다는 이야깁니다.
한국경제TV 박병연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