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64.59

  • 8.68
  • 0.35%
코스닥

677.54

  • 0.65
  • 0.1%
1/3

병원진료 받던 여성환자 10% '성희롱' 느꼈다!

관련종목

2024-12-02 10:16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병원 진료를 받던 여성환자 10명 중 1명 이상이 성희롱 등 성적 불쾌감을 경험했다는 충격적인 조사결과가 나왔다.

    7일 공익인권법재단 공감이 국가인권위원회의 의뢰를 받아 작성한 `진료 과정의 성희롱 예방 기준 실태조사 연구` 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의료기관을 이용한 성인 여성 1천명 중 118명(11.8%)이 성희롱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사실과 관련없습니다.>

    의료 과정의 성희롱과 관련한 실태 분석 보고서가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공감은 19∼59세 성인 여성 1천명에게 최근 5년 내 진료과정 중 성적 불쾌감 등 경험 여부, 성희롱 상황에 대한 대응 방법 등을 물었다.

    성희롱을 겪었다고 답한 이들에게 구체적 경험을 물은 결과(이하 중복응답) 모두 255건의 성희롱 사례가 집계됐다.

    구체적 사례로는 `프라이버시가 보호되지 않는 공간에서 진찰 또는 검사를 위해

    옷을 벗거나 갈아입은 것`(46건)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의료인(또는 의료기사)이 외모나 신체 등에 대해 성적인 표현(30건),진료와 관계없는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상태에서

    성생활이나 성경험을 물은 것(25건),진료와 관계없이 성적으로 신체를 만지거나 접촉(23건),

    성생활이나 성적 취향에 대한 불필요한 언급(23건) 등의 답이 뒤를 이었다.

    이밖에 `성적농담(음담패설)이나 성적 비하`(14건), `의료인이 의도적으로 자신의 신체를 불필요하게

    노출하거나 보여줌`(10건) 등의 사례가 있었으며 성폭행을 당했거나 성폭행당할 뻔했다는 답도 2건 있었다.

    성적 불쾌감을 가장 많이 느낀 진료과목·진료기관 1위는 내과(50.8%)로 이용 빈도가 높고

    가슴과 배 부위 촉진이 빈번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그 다음으로 산부인과(45.8%)가 2위, 정형외과(24.6%)와 한의원(21.2%)이 3위와 4위였고

    밀착 진료가 이뤄지는 치과(20.3%)도 5위에 올랐다.

    의료기관 규모별로는 병원급(51.7%)에서 가장 많은 성희롱 관련 경험을 했고

    이어 의원급(50.8%), 종합병원급(24.6%), 상급종합병원급(11.9%) 순이었다.

    성적 불쾌감을 준 의료인·의료기사의 성별을 묻는 항목에서는 `남성`이라고 밝힌 응답자가 80.5%였으나

    `여성`이라는 응답도 37.3%를 차지, 성별을 불문하고 성희롱 교육을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성적 불쾌감 등을 경험했을 경우 대부분이 아무 행동을 하지 않거나(62건),

    해당 의료기관에 다시 가지 않는 등(37건) 소극적인 대처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진료 과정의 일부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해서`,

    적극 대응한다고 문제가 해결될 것 같지 않아서` 등이 꼽혔다.

    의료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는 의사와 환자 간 인식의 차이가 확연히 드러났다.

    의사 135명과 한의사 65명 등 의료인 200명에게 설문한 결과 가장 빈번한 성희롱 상황으로

    `환자의 명시적 동의 없이 성적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진찰을 할 때 학생 등 제3자를 참관시키는 것`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의사들은 성희롱 등의 상황이 가장 잦게 발생할 것 같은 진료과목으로

    산부인과, 비뇨기과, 성형외과 등 순으로 꼽아 환자들의 응답과는 다소 차이를 보였다.

    보고서는 진료 시 밀폐된 곳에 환자와 의사만 있는 경우가 많아 성희롱 발생 가능성이 크지만

    성희롱 여부 판단을 위한 지식이 부족하고 입증하기 어려우며,

    의사와 환자 간 비대칭적 권력관계 등으로 인해 문제 제기가 어려운 것으로 분석했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한국경제TV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