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5.91

  • 48.76
  • 1.95%
코스닥

678.19

  • 16.20
  • 2.33%
1/3

문제많은 韓 자산중 부동산비중··돈 없고 집만 있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부동산 불패 신화`가 끝난 상황인데도 한국 가계자산의 부동산 편중 현상이 너무 심각,

안정적인 노후 생활을 위해 부동산 일부를 팔아야 한다는 주장이 전문가 사이에서 잇따라 제기됐다.




주상철 국민연금연구원 연구위원은 7일 `고령화 시대의 가계 자산관리` 보고서에서

"우리나라 가계는 대부분의 자산을 부동산 등 실물자산으로 보유,

부동산가격 하락시 적지않은 충격을 받을 것으로 우려된다"며 이처럼 밝혔다.

그는 "부동산 편중 현상이 지속되면 자금 유동성을 축소시켜 다른 금융자산 투자의 제약 요인이 될 수 있다"며

"부동산의 일부를 매도,유동성을 확보하고 노후 소득의 원천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창선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도 "은퇴 후 별다른 소득이 없는 상황에서 자금 필요성이 커지면

부동산을 처분해야 할 고령층 가계가 적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통계청 가계금융조사에 따르면 2013년 기준 한국의 가계자산 중 실물자산 비중은

73.3%(부동산 비중 67.8%)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특히 실물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나이가 들수록 높아져 50대 중반 이후 가구주의 경우 80%를 웃돈다.

최근 제자리걸음을 하는 한국의 주택가격은 앞으로 하락 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는 관점에서

이같은 진단은 상당한 설득력을 갖고 있다는 것이 중론이다.

고정적인 수입이 없는 고령층이 생계유지를 위해 주택을 팔아치우면서

수요보다 공급이 많아질 가능성이 상당히 높기 때문이다.

LG경제연구원에 따르면 60대 이상 가구의 부동산 평가액은 2006년 2억7천만원에서 2012년 2억원으로 감소했다.

금융자산을 포함한 전체 자산도 같은 기간 3억2천만원에서 2억5천만원으로 줄었다.

앞으로 인구 고령화에는 가속도가 붙을 전망으로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2010년 11% 수준인 한국의 65세 인구 비중은 2060년께 40.1%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고령층이 부동산을 금융자산으로 더욱 쉽게 전환할 수 있도록

주택연금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제언도 나온다.

주택연금은 고령자가 본인 명의의 주택에 대해 담보 및 대출 계약을 체결한 뒤 사망할 때까지

금융기관으로부터 일정 기간마다 연금 형태의 금액을 받고 사망 후에는 담보로 제공된 부동산을 처분해 상환하는 제도다.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한국경제TV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