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97.82

  • 13.76
  • 0.49%
코스닥

840.44

  • 1.79
  • 0.21%
1/3

미래부 출범 1년‥'창조경제' 기초공사 다졌다

관련종목

2024-06-30 08:45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미래부 출범 1년‥`창조경제` 기초공사 다졌다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앵커>

    출범 시작부터 `창조경제`의 핵심부서로 주목 받아왔던 미래창조과학부가 1주년을 맞이했습니다.

    그 동안 창조경제의 개념정리부터 불명확한 업무 분담 등 지속적인 비판속에서도 미래부는 지난 1년간 나름대로의 성과를 이뤘습니다.

    박상률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1년간 미래부가 중점을 두고 추진한 것은 `창조경제 기반다지기` 입니다.

    미래부는 특히 `새로운 아이디어`에 주목했습니다.

    누구나 좋은 아이디어를 정부에 제시할 수 있는 `창조경제타운`. 여기에 올라온 아이디어는 직접 사업화로 이어졌습니다.

    미래부는 벤처투자 활성화를 위한 생태계 조성에도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청년창업펀드가 1천억 원 규모로 조성됐고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금융 지원 강화를 위해 코넥스 펀드, IP 펀드 등도 만들어졌습니다.

    소프트웨어와 콘텐츠 펀드 조성액도 7배 증가한 1천4백억 원 규모로 늘렸습니다.

    그 결과 벤처기업 수는 전년보다 900여개 증가한 2만9천여개로 늘어났습니다.

    `알뜰폰`은 미래부의 주요 성과 중 하나로 평가됩니다.

    가계 통신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마련된 알뜰폰은 현재 가입자가 100만 명 이상 늘어나며 전체 통신가입자 수의 5%를 넘어서고 있습니다.

    앞으로 우리가 먹고살 수 있는 있는 먹거리 산업은 미래부가 가장 중점을 두고 추진하는 것 중 하나입니다.

    미래부는 소프트웨어(SW), 사물인터넷, 방송, 문화 등 13개 분야를 성장동력으로 삼고 앞으로 우리의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육성시킨다는 계획입니다.

    하지만 국민들이 쉽게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보여주지 못한 점 등은 해결해야 할 과제도 남아 있습니다.

    보조금 과다경쟁이 계속해서 반복되는 통신시장을 빨리 진정시키지 못하고 유통업자들만 힘들게 하는 철퇴를 가한 것은 아쉬움으로 꼽힙니다.

    미래부 출범 이후 30여개가 넘는 위원회의 탄생을 두고도 `보여주기식`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1년간의 기초공사를 끝내고 이제 `창조경제`를 위한 타워를 올리는 일에 힘을 쏟아야 할 때입니다.

    한국경제TV 박상률입니다.
    한국경제TV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