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연구원 수가 9년 사이 2배로 늘어나면서 40만 명을 넘었습니다.
또한 연구원 10명 중 7명이 수도권과 대전에 거주하고 있고 1인당 연구개발비는 지역별로 3배의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2012년 총 연구원 수는 40만1천724명으로 전년(37만5천176명)보다 7.1%(2만6천548명) 증가하며 처음으로 40만명을 넘어섰습니다.
연구원 수는 2002년 18만9천888명에서 2004년 20만9천979명으로 늘며 20만명을 돌파한데 이어 2007년 30만50명으로 30만명을 넘었고 5년만에 추가로 10만명이 늘어난 것입니다.
연구참여 비율을 고려한 상근상당 연구원(FTE) 수는 31만5천589명으로 30만명선에 들어섰는데 이는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독일에 이어 세계 6위 수준입니다.
경제활동인구 1천명당 상근상당 연구원 수는 12.4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최고 수준입니다.
연구원 수 증가는 연구개발비 등 지원이 강화된데 힘입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연구개발비는 2008년 34조4천981억원에서 2010년 43조8천548억원으로 40조원을 넘어선 데 이어 2012년 55조4천501억원으로 전년대비 11.1%(5조5천597억원) 증가하며 50조원을 돌파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수도권·대전에 거주하는 연구원 수는 28만6천739명으로 전년보다 8.5%(2만2천436명) 증가했습니다.
총 연구원 수 중 수도권·대전 연구원 비중은 71.4%로 2006년 이후 6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과학기술 인력이 수도권·대전에 집중되는 것은 공공·연구기관, 기업 연구소 등이 이들 지역을 선호하는데다 정부의 연구개발비도 이들 지역에 상대적으로 많이 지원됐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대전의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는 1억9천696만원으로 2억원에 육박했고 경기도와 인천은 각각 1억7천756만원, 1억4천809만원으로 1억원을 넘었으며 서울은 9천700만원이었습니다.
이와 관련해 민철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선임연구위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지방재정 대비 과학기술예산 비중을 현재의 1.9% 수준에서 향후 5년간 3%로 높여 지역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최소한의 터전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또한 "이공계 출연연구소의 지역 분소 확대를 촉진하기 위해 연구인력의 지방 거주 여건과 보상 체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