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작스럽게 세계 주가와 신흥국 통화값이 폭락했다. 벌써부터 미국 중앙은행(Fed)이 테이퍼링(양적완화 규모 축소)을 너무 빨리 추진하지 않았느냐는 비판과 함께, 미국 증시에 낀 거품이 본격적으로 붕괴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미국 증시 거품 논쟁은 비교적 오래됐다. 첫 단추는 2012년 8월에 있었던 ‘주식숭배(cult of equity) 종료 논쟁’이다. 당시 빌 그로스는 채권을, 워런 버핏은 주식을 살 것을 권했다. 그 후 다우존스지수가 30% 이상 올라 그로스 자신도 패배를 인정할 만큼 버핏의 완벽한 승리로 끝났다.
한동안 잠잠하던 거품 논쟁이 다시 불이 붙은 것은 꼭 1년만인 작년 8월이다. 이색적인 것은 비관론자 간에 벌어졌다는 점이다. 마크 파버는 작년 남은 기간 안에 주가가 20% 폭락을 주장한데 반해, 누니엘 루비니 교수는 앞으로 2년 동안 재테크 수단으로 주식이 가장 유망할 것으로 내다봤다.
곧이어 3차 논쟁이 벌어졌다. 작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던 로버트 실러와 우리에게 「투자의 정석」,「성장의 함정」의 저자로 알려진 제러미 시겔 간의 논쟁이다. 실러는 작년 9월 당시 PER(주가수익비율)가 CAPE 지수(물가를 감안한 10년간 PER 평균치)보다 높은 점을 근거로 거품이 끼었다는 주장에 시겔은 통계상의 오류를 들어 정면으로 반박했다.
증시 논쟁이 지속되는 속에 시장에서도 다섯 가지 거품 징후가 나타났다. △PER이 24배로 1996년과 비슷한 점 △주식 비관론자들이 낙관론으로 돌아선 점 △채권은 거들떠보지 않는 점 △자금조달창구로 기업공개(IPO)에 몰리는 점 △개인이 레버리지 단타에 쏠리는 점이 그것이다. 거품론이 설득력을 얻어가자 마침내 Fed도 작년 12월 회의에서 인정했다.
증시에 낀 거품이 붕괴되려면 특정 계기가 있어야 한다. 올해 1월부터 추진하고 있는 테이퍼링에 대한 비판이 나오는 배경이다. 너무 성급하게 추진하면 자금이탈에 시달리는 신흥국 위기로 미국이 ‘역풍’을 맞을 수 있기 때문이다. 월가에서는 ‘제2의 에클스 실수(Eccles`s failure)’ 가능성까지 나온다.
테이퍼링 추진 이후 대부분 신흥국들은 금융불안이 재연되고 있다. 대조가 되는 것은 선진국들은 거품 우려가 제기돼 왔던 증시가 조정을 받는데 비해 신흥국들은 자금유입 과정에서 고평가됐던 통화 가치가 심하게 흔들린다는 점이다. 아르헨티나 등 일부 신흥국들은 ‘낙인 효과’까지 가세돼 통화 위기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모리스 골드스타인 지표와 금융스트레스 지수로 개별 신흥국별 위기 가능성을 점검해 보면 크게 세 부류로 구분된다. 외환보유고가 적고 경상적자와 재정적자가 심해 테이퍼링 추진에 따라 투자자들이 이미 스트레스를 크게 받는 ‘고위험 위기국’으로는 인도, 인도네시아, 터키, 태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헝가리, 아르헨티나, 브라질 등이 속한다.
반면에 경상수지와 재정수지가 건전하고 외환보유고도 충분히 쌓아 놓고 있는 멕시코, 중국, 대만, 홍콩, 싱가포르 등은 상대적으로 위기 가능성이 낮게 나온다. 남은 신흥국들은 ‘중위험 위기국’으로 분류된다. 외환보유고는 적정수준 이상 쌓아 놓고 있지만 경상수지와 재정수지가 악화되고 있는 중남미, 중동, 선발 동남아 국가들이 해당된다.
주목해야 할 것은 고위험 위기국으로 분류되는 신흥국들이 과연 ‘나선형 악순환 이론(spiral vicious circle theory)’에 빠질 것인가 하는 점이다. 앞으로 테이퍼링 추진 과정에서 일부 신흥국들이 ‘외자이탈→통화가치 폭락→외환보유 감소·금리인상→실물경제 침체→추가 외자이탈’로 이어지는 악순환 고리가 형성된다면 그때는 위기다.
최근 아르헨티나 정부의 외환통제로 암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블루 달러(EL dolar blue·블랙은 불법 느낌이 강해 옅은 의미로 붙여진 일종의 완곡어법 용어)`의 움직임을 주목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아르헨티나 통계청은 블루 달러 규모가 이미 외환보유액을 상회한 것으로 추정했다.
유일한 해결책은 테이퍼링에 대한 Fed의 입장이다. 테이퍼링도 양적완화와 함께 또 다른 각도의 금융시장과 경기안정책이다. Fed가 테이퍼링 추진 이후 나타나고 있는 선진국 주가와 신흥국 통화값 폭락을 거품과 고평가가 해소되는 아름다운 조정으로 판단한다면 크게 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그 반대의 경우는 사정이 달라진다.
두 가지 가능성 모두 반반(半半)이다. 투자자들은 국내 증권사의 뒤늦은 낙관론에 영합하기보다 ‘균형’을 중시해야 한다. 오히려 대전환기를 맞아 세계경기나 통화정책, 중심축 이동, 국제 간 자금흐름 등에 나타나는 새로운 변화에 주목해야 할 때다.
<글. 한상춘 <a href=http://sise.wownet.co.kr/search/main/main.asp?mseq=419&searchStr=039340 target=_blank>한국경제TV 해설위원 겸 한국경제신문 객원논설위원(schan@hankyung.com)>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