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우리투자증권 패키지와 지방은행의 새 주인이 윤곽을 드러내면서 우리금융지주 민영화 작업이 반환점을 돌고 있습니다. 하지만 매각 과정에서 불거진 마찰을 잠재우고 규모가 가장 큰 우리은행 매각까지 완료하려면 넘어야할 산이 적지 않다는 지적입니다. 이근형 기자입니다.
<기자>
우리금융 증권계열과 지방은행계열의 우선협상대상자가 모두 선정됐습니다.
전체 14개 자회사 중 8곳이 새 주인을 찾았고 우리은행과 우리카드를 포함한 나머지 6개 자회사를 매각하면 민영화 작업은 마무리됩니다.
절반의 성공을 거두기까지 과정은 순탄치 않았습니다.
증권사 패키지 매각원칙을 고수해 우리투자증권에만 가장 높은 가격을 제시한 KB금융이 아니라, NH금융에 증권계열을 매각하기로 하면서 ‘배임’논란이 불거졌습니다.
논란을 잠재우기위해 이미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NH금융에 증권과 저축은행의 매각 조건을 개선하도록 요구하는 등 이례적인 조치도 취해졌습니다.
아울러 경남은행 매각에서는 가격경쟁력이 높았던 BS금융이 승기를 잡았지만 경남지역 주민과 의원들의 반발로 `승자의 저주`에 빠질 우려도 나옵니다.
우리금융은 지방은행 매각에 따라 6천억원에 달하는 세금을 내야하는데, 이를 면제하기 위한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도 행방이 묘연합니다.
반환점은 돌았지만 결승선까지는 험난한 여정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민영화의 마지막 단계인 은행계열 매각은 뚜렷한 인수희망자가 없어 예정대로 올 1월 안에 매각절차를 시작할 수 있을지 미지수입니다.
은행업이 포화상태에 이른데다 비이자수익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다른 금융지주사들이 우리은행에 큰 매력을 느끼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우리금융 지분을 분할매각하는 방안도 나오지만 공적자금회수액이 줄어들고 민영화 시기가 늦춰진다는 점은 한계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계열사가 차례로 팔려나가면서 뒤숭숭한 시기를 틈타 이순우 우리금융회장의 내부 장악력도 점차 약화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비은행 민영화 작업에서 계속돼 온 파열음과 은행계열 매각의 한계로 은행 매각을 포함한 민영화 작업이 완성될 수 있을지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이근형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