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통계청이 소비자물가의 현실 반영도를 높이기 위해 품목 가중치를 조정했습니다.
물가 상승률이 0.1%포인트 올라가는 효과가 있다고 하는데 체감 물가와의 괴리를 좁히기엔 한계가 있어 보입니다.
보도에 김택균 기자입니다.
<기자>
통계청이 소비자물가지수를 산정할 때 쓰이는 품목 가중치를 개편했습니다.
가구의 소비 패턴은 달라졌는데 물가 통계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에 따른 겁니다.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부문과 의류 및 신발부문, 교통부문의 가중치가 늘었습니다.
주택임차료 증가 등에 따라 주택·수도·전기 및 연료 부문 가중치도 높아졌습니다.
반면 정부의 보육료 지원, 무상급식 확대 등으로 교육 부문, 보육시설 이용료가 포함된 기타 상품 및 서비스부문 가중치는 내려갔습니다.
주류 및 담배부문 가중치도 감소했습니다.
새 가중치를 적용하면 물가 상승률은 0.1%포인트 올라가는 효과가 생기는 걸로 나타났습니다.
<인터뷰> 박성동 통계청 경제통계국장
"이번 가중치 개편으로 최근의 소비지출 구조가 반영됨으로써 현실 반영도가 지표상으로는 상당부분 반영됐다고 봅니다. 다만 소비자들이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체감 물가와의 괴리는 여러가지 설명을 통해서 해소해나갈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체감 물가와 물가지수와의 괴리를 해결하기 위해선 가중치 조정이 아닌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우리나라도 양극화가 심한 만큼 일본처럼 소득 계층별로 소비자물가지수를 발표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대표적입니다.
<인터뷰> 최종후 고려대 정보통계학과 교수
"유력한 대안으로 계층별 물가를 우리도 산정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계층별 물가지수란 소득계층 수준에 따라서 등급을 나눠서 각 계층에서 소비 비중이 큰 항목을 고르고 그에 따른 비중을 감안한 계층별 소비자물가지수를 작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실제로 일본 총무성 통계국에선 매월 소득 5분위별 소비자물가지수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통계청은 이번달부터 새 가중치를 적용해 물가지수를 공표할 예정이지만 체감물가와의 괴리 논란은 앞으로도 계속될 걸로 보입니다.
한국경제TV 김택균입니다.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