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예산위원회가 다음 회계연도 예산안에 합의하면서 미국 정부의 셧다운 가능성이 크게 완화됐습니다.
다만 정치적 리스크 해소는 호재로 반영되지 못하고 연내 양적완화 축소 단행 가능성을 높이면서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김민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미국 의회의 예산안 잠정 합의 소식이 주가를 끌어내리는 악재로 둔갑했습니다.
지난 9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테이퍼링 단행을 주저하게 한 요소인 정치적 리스크가 해소되면서 연내 유동성 축소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패티 머레이 상원 예산위원장
"이번 합의안 도출은 예산안 논의가 큰 위기로 번지는 것을 막았다.향후 2년간의 예산은 초당적인 협의를 통해 확정됐다."
공화당 내 보수세력이 합의안에 반대하고 있고, 민주당에서도 복지예산 축소에 불만을 제기하고 있지만 양당 지도부의 의견이 모인 만큼 상하원을 무난히 통과할 것이란 분석입니다.
동시에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정치적 압박 없이 경제지표 개선만을 반영해 통화정책을 결정할 가능성은 높아졌습니다.
`11월 실업률 7%, 3분기 경제 성장률 3.6%`
최근 발표되고 있는 경제지표는 무제한 양적완화 정책의 종료가 임박했다는 신호를 보내고 있습니다.
시장의 충격을 최소화하지만 지표 개선을 반영해 이번 달 최소 50억달러의 소규모 테이퍼링이라도 단행 되야 할 것이란 주장도 제기됐습니다.
테이퍼링 가능성이 처음 언급된 지난 여름과 같은 금융시장 혼란은 반복되지 않을 것이란 얘깁니다.
다만 월가는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가 3.5%를 넘어설 경우에는 금융시장에 전반적 패닉장세가 나타날 수 있다며 테이퍼링 현실화를 앞두고 이에 따른 보수적 전략 구축이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
한국경제TV 김민지입니다.
뉴스